뉴스핌 | ANDA 뉴스 | 월간 ANDA | 안다쇼핑 | 中文 | 뉴스핌통신 PLUS
회원가입로그인정기구독신청

‘과점주주’ 방식이 신의 한 수...15년 만에 주인 찾아

2017년 02월호

‘과점주주’ 방식이 신의 한 수...15년 만에 주인 찾아

2017년 02월호

일괄·분리매각 실패...과점주주 매각 카드로 흥행
다섯 번째 도전, 15년 만에 민영화 성공
예보와 경영이행약정(MOU) 해지로 정부 굴레 벗어


| 김지유 기자 kimjiyu@newspim.com


#우리은행 불광동지점에 근무하는 차정준(37) 과장은 민영화 성공 이후 일하는 게 즐겁다. 은행 민영화로 영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직원들에 대한 보상도 강화될 거라는 기대감에서다. 대학 졸업 후 2007년 입행한 차 과장은 매각 과정을 지켜보며 성공을 기원했다. 그동안 정부의 영향력 아래 있다 보니 규모와 인지도가 비슷한 타 은행에 비해 영업 경쟁력이 떨어졌고, 실제 직원들에 대한 보상도 만족스럽지 못했기 때문.

한편으로는 고객들을 위해서도 민영화가 절실했다. 매각 공고가 뜰 때마다 영업점을 찾은 고객들은 ‘회사가 돈이 없어서 다른 곳에 팔리는 것이냐’며 불안해했기 때문이다. 차 과장은 고객들에게 ‘은행이 더 크기 위해 필요한 좋은 의미의 매각’이라고 설명하며 한시라도 빨리 민영화되기를 고대해왔다.

사실 지난 15년간의 우리은행 ‘주인 찾기’ 여정은 우여곡절이 많았다. 우리은행은 2001년 4월 ‘우리금융지주’에 편입된 이후 2004년부터 2010년까지 네 차례 지분대량매각(블록세일)을 통해 예금보험공사의 지분율을 56.97%까지 줄였다.

본격 매각이 시작된 건 이명박 정부 들어서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2010년 10월 말 첫 번째 매각 공고를 내면서 우리금융 자회사와 지방은행 매각을 병행 추진하는 방식을 내놨다. 하지만 독자적 민영화를 위해 구성된 ‘우리금융 컨소시엄’이 입찰 참여를 포기하며 매각은 무산됐다.

이듬해인 2011년 5월 정부는 두 번째 우리금융 매각 공고를 냈다. 이번에는 지주사와 계열사를 묶어 최소 지분 30% 이상을 입찰해야 하는 ‘일괄매각’ 방식이었다. 당시 정부는 “매각 절차가 단순하고 매각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자신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정부는 2012년 4월 세 번째 우리금융 매각 공고를 내고 일괄매각을 시도해지만 역시 좌초됐다.


2013년 6월 정부는 ‘일괄매각’ 대신 ‘분리매각’ 방식을 들고 나왔다. 각 계열사를 떼어 팔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듬해인 2014년 11월 정부는 경남은행을 BS금융지주, 광주은행을 JB금융지주에 각각 매각했다. 같은 해 12월 말에는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현 DGB생명), 우리저축은행(현 NH저축은행)을 NH농협금융지주에 넘겼다. 우리자산운용(현 키움자산운용)은 키움증권에 매각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덩치가 큰 우리은행의 경우 경영권 행사가 가능한 지분(30.0%)을 결국 매각하지 못했다.

고심 끝에 정부는 지난해 8월 22일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꺼내들며 승부수를 던졌다. 우리은행의 경영권 행사가 가능한 지분(30%)을 각 주주들에게 4~8%씩 쪼개 파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특히 신규로 4% 이상의 지분을 낙찰받게 되면 사외이사 추천권을 부여하고 행장 선임 등 경영에도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해 흥행을 이끌어냈다.

결국 11월 11일 8곳이 본입찰에 뛰어들었고, 같은 달 13일 정부는 우리은행의 예보 지분 29.7%를 7곳(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동양생명, 한화생명, 유진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IMM프라이빗에쿼티)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상세기사 큰이미지

‘과점주주’ 방식 매각이 신의 한 수...15년 만에 주인찾기 성공

최소 3.7%에서 최대 6.0%까지 지분을 인수하게 된 이들 과점주주 중 유진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을 뺀 나머지 다섯 곳은 사외이사 추천권을 부여받았다. 지난해 12월 9일 각 사외이사 후보들을 확정했다. 한국투자증권 신상훈, 키움증권 박상용, 한화생명 노성태, 동양생명 전지평, IMM프라이빗에쿼티 장동우 등이다. 이들 사외이사는 2017년 초 은행장 선임 등에 직접 관여하게 된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16일 우리은행에 대한 예보의 양해각서(MOU)를 해제함으로써 매각 절차를 최종 마무리 지었다. 정부는 과점주주들의 자율경영을 약속했고, 예보의 경우 잔여지분이 21.4%지만 은행장 선임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에도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해 12월 15일 과점주주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네 차례의 매각 실패를 경험하면서 이번 다섯 번째 매각에 성공을 자신하는 사람은 없었다”면서 “이번에는 반드시 해내겠다는 각오로 금융위 담당부서, 예보, 우리은행, 매각주관사 등 관계자들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했고, 힘들었지만 매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임 위원장은 이어 “예보 보유 잔여지분 매각은 이번에 투자한 과점주주의 기대이익을 감안해 추진할 것”이라며 “앞으로 과점주주들이 우리은행과 함께 시너지를 창출하는 등 지배구조의 새로운 롤 모델(Role Model)을 구축하고, 책임 있는 경영을 통해 우리은행의 기업가치 제고와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 크게 기여해 달라”고 강조했다.
상호 : (주)뉴스핌 | 사업자등록 : 104-81-81003 | 발행인 : 민병복 | 편집인 : 유근석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기락
주소 :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미원빌딩 9층 (여의도동) 뉴스핌 | 편집국 : 02-761-4409 | Fax: 02-761-4406 | 잡지사업 등록번호 : 영등포, 라00478 | 등록일자 : 2016.04.19
COPYRIGHT © NEWSPIM CO., LTD. ALL RIGHTS RESERVED.
© NEWSPIM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