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 ANDA 뉴스 | 월간 ANDA | 안다쇼핑 | 中文 | 뉴스핌통신 PLUS
회원가입로그인정기구독신청

역대 정상회담으로 본 中·美

2017년 12월호

역대 정상회담으로 본 中·美

2017년 12월호

상세기사 큰이미지

시진핑, 통큰 투자로 트럼프 ‘매수’
후진타오, G2 위상 확인
장쩌민, 경직된 중미관계 회복


| 백진규 중국전문기자 bjgchina@newspim.com


2017년 11월 8~10일 중국에서 가진 미·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자금성(紫禁城)으로 초청해 황제 의전에 버금가는 환대를 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회담 결과는 ‘윈윈(win-win)’이라는 평가를 얻었다. 미국은 2535억달러에 달하는 무역 선물 보따리를 챙겨들었고, 중국은 ‘불공정 무역’에 대한 비난을 피하면서 실리를 챙겼다. 원론적인 내용이지만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지지한다’는 공동성명도 발표했다. 이전 장쩌민부터 시진핑까지, 중국은 미·중 정상회담을 통해 자국의 위상을 알리고 실리를 챙기면서 G2 반열에 올라섰다. 역대 미·중 지도자들의 정상회담과 미·중 관계 주요 현안을 되돌아본다.

시진핑, 트럼프에 자금성 황제의전

11월 8~10일 중국을 방문한 트럼프 대통령에게 시진핑 주석은 자금성을 통째로 비운 채 경내를 구경시키면서 최고의 의전을 베풀었다. 양국 정상 내외는 중국 보물을 감상하고 차를 마시며 환담을 나눴고, 트럼프는 외손녀 아라벨라의 중국어 노래 영상을 태블릿PC로 자랑하면서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이번 미·중 정상회담의 최대 관심사는 북한 압박이었으나 양국 정상은 예상보다 신중한 제스처를 취했다. 추가적인 대북 제재안 없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엄격히 집행하겠다’는 약속에 그쳐, 사실상 미국이 중국을 통한 북한 압박의 고삐를 늦춘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대신 트럼프 대통령은 에너지, 항공, 첨단기술 등 분야에서 모두 2535억달러에 달하는 무역 성과를 거뒀다. 이는 미국의 연간 대중 무역적자와 맞먹는 규모로, 트럼프는 “대중 무역적자에 대해 중국만을 탓할 순 없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두 정상의 만남은 이번이 두 번째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17년 4월 시진핑 주석은 플로리다 마라라고 리조트를 방문해 정상회담을 가졌다. 북핵 문제부터 무역 불균형까지 민감한 쟁점들은 산적했으나 뾰족한 답은 결국 나오지 않았다. 당시 정상회담 만찬 직후 미국은 시리아 폭격을 통해 북핵 문제에 대한 간접적이면서도 강한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시진핑 주석은 1기 집권 직후인 지난 2013년 6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캘리포니아의 휴양지 서니랜즈에서 만난 두 정상은 첫 회동임에도 넥타이를 풀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8시간을 함께 보내며 대화를 나눴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충돌 대립하지 않고, 서로 존중하며, 협력 윈윈한다(不沖突不對抗, 相互尊重, 合作共贏)’는 신형대국관계를 제안했다. 신형대국관계는 기존 패권국가인 미국과 신흥강국 중국이 서로의 이익을 존중하면서 평화 공존을 추구하자는 내용이다.

상세기사 큰이미지
후진타오 전 주석과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사진=바이두>

후진타오, 중국 ‘G2’ 위상 확인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은 2006년 4월 처음 미국을 방문했다. 후진타오와 조지 W. 부시는 기존 양국이 논의했던 대만 문제, 무역 마찰과 함께 군사·사법·문화 영역에서 교류를 강화하고 아태지역 안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가기로 약속했다.

이 자리에서 후진타오는 “중·미 관계는 이미 두 나라만의 관계가 아니라 전 세계에 영향을 주는 관계로 발전했다”며 중국의 달라진 위상을 표현했다. 이때부터 미국 학계에서는 G2(Group of Two)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2009년에는 오바마 행정부에서도 G2를 언급하며 중국과의 관계를 더욱 중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오바마 대통령은 2009년 11월 중국 상하이와 베이징을 방문했다. 국제 정세와 지역 문제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한 양국 정상은 공동성명을 통해 ‘양국이 상대방의 핵심 이익을 존중한다’고 발표했다. 이후 중국은 티베트, 남중국해 등을 자국의 ‘핵심 이익’으로 내세우면서 실리를 챙기는 데 성공했다.

상세기사 큰이미지
장쩌민 전 주석과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사진=바이두>

장쩌민, 경직된 중·미 관계 회복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1993년 11월 빌 클린턴 대통령의 초청으로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 이후 4년간 경직됐던 미·중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클린턴이 수 차례 장쩌민을 초청한 것.

APEC 일정이 마무리된 뒤 11월 19일 양국 정상은 30분간 회담을 통해 양국의 대치 국면이 종결됐음을 세계에 알렸다. 이를 계기로 양국은 협력발전 외교정책을 재가동했다.

5년 뒤인 1998년 6월 클린턴은 첫 중국 방문에 나섰다.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환영 만찬에서 클린턴 대통령은 유창한 중국어로 “간베이(乾杯)”를 외치며 분위기를 띄웠다. 클린턴은 베이징대학에서 강연하고 학생들과 질의응답을 통해 소통의 시간도 가졌다. 클린턴의 솔직하고 개방적인 모습에 중국인들도 미국에 대한 적대감을 풀기 시작했다.

클린턴 다음으로 대통령이 된 조지 W. 부시는 당선 1년 반 만인 2002년 2월 중국을 찾았다. 이 자리에서 장쩌민은 대만에 대한 ‘평화통일, 일국양제(和平統一, 一國兩制)’ 원칙을 부시와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 부시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거듭 표명하면서 쌍방 호혜발전 지속을 강조했다. 또한 두 정상은 △무역 △에너지 △과학기술 협력 △환경보호 △에이즈 예방 △국제테러 방지 등 다양한 의제를 논의하면서 실무 협력에 나섰다.

‘아버지 부시’로 불리는 조지 H.W. 부시가 주중 대사로 근무할 당시 조지 W. 부시도 중국 생활을 했기 때문에 그에게 중국은 낯선 나라가 아니었다. 그만큼 그는 중국에 대한 친근감을 드러냈고, 재임 기간 4번이나 중국을 찾아 가장 중국을 많이 방문한 미국 대통령이 됐다.
상호 : (주)뉴스핌 | 사업자등록 : 104-81-81003 | 발행인 : 민병복 | 편집인 : 유근석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기락
주소 :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미원빌딩 9층 (여의도동) 뉴스핌 | 편집국 : 02-761-4409 | Fax: 02-761-4406 | 잡지사업 등록번호 : 영등포, 라00478 | 등록일자 : 2016.04.19
COPYRIGHT © NEWSPIM CO., LTD. ALL RIGHTS RESERVED.
© NEWSPIM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