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 ANDA 뉴스 | 월간 ANDA | 안다쇼핑 | 中文 | 뉴스핌통신 PLUS
회원가입로그인정기구독신청

다시 힘 받는 킹달러...유로·엔·위안화 하락 압박 불 보듯

2024년 12월호

다시 힘 받는 킹달러...유로·엔·위안화 하락 압박 불 보듯

2024년 12월호

상세기사 큰이미지

관세, 감세 등 공약 강달러 부추겨
부채 증가 따른 금리 상승도 한몫
엔화 BOJ 개입 지점까지 밀리나


| 황숙혜 기자 shhwang@newspim.com


47대 미국 대통령을 뽑는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승리, 재선에 성공했다는 소식에 외환시장 트레이더들이 긴박하게 대응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헤지펀드를 주축으로 투기 세력은 대선이 가까워지면서 이미 달러화 상승 베팅을 크게 늘렸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따르면 투기 세력의 달러 상승 포지션이 10월 29일(현지시간) 기준 178억달러에 달했다. 2024년 4월 기록한 연중 고점 324억달러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지만, 9월 3일만 해도 182억달러 매도 우위였던 포지션이 급반전을 이룬 셈이다.

슈퍼달러 부추기는 구조적 요인은

소위 ‘킹(King) 달러’가 재연되는 데는 재선에 성공한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 노선에서 비롯된 구조적 요인들이 배경으로 작용한다.

먼저, 국채 수익률 상승이다. 11월 6일 미국 벤치마크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431%까지 올랐다. 수익률은 9월 중순 3.6% 선에서 상승세로 가닥을 잡은 뒤 11월 초 4.3% 선까지 뛰었고, 대선 결과에 13.8bp(1bp=0.01%포인트) 추가 상승했다. 이날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7월 2일 이후 최고치 기록을 세우며 마감했고, 30년물 국채 수익률 역시 4.6% 선을 뚫고 오르며 4개월래 최고치를 나타냈다.

앞서 시장 전문가들은 두 후보 가운데 누가 백악관을 차지하든 국채 수익률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때 상승 압박이 더 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행정부 2기가 미국의 부채와 재정적자를 더 큰 폭으로 늘릴 여지가 높다는 인식이다. 지난 2016년 트럼프 행정부 1기가 시행한 감세 정책은 재정적자를 GDP의 3.1%에서 2019년 4.6%로 늘렸다.

이번 대선 과정에 그는 법인세를 21%에서 15%로 떨어뜨린다는 공약을 제시했고, 이를 시행할 경우 미국의 재정적자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관세 인상으로 줄어드는 세수를 채운다는 복안이지만, 현실적으로 모두 상쇄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책임 있는 연방예산위원회(Committee for a Responsible Federal Budget)는 트럼프 당선인의 공약이 2026~2035년 사이 미국 국가 부채를 1조6000억~15조6000억달러 늘리는 시나리오를 제시한 바 있다.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재점화할 수 있다는 우려 역시 트레이더들의 미 국채 수익률 상승 베팅을 부추긴다. CBS와 CNN 등 미국 주요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컴백’이 또 한 차례 가파른 인플레이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가 제시한 관세 인상 계획을 그대로 시행할 경우 수입물가 상승이 불가피하기 때문. 이 경우 지난 9월 소위 ‘빅컷’(50bp 금리 인하)을 강행한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완화 사이클을 이어가도 인플레이션 상승 심리로 인해 시장 금리 하락이 제한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교과서적인 논리로 특정 국가의 시장 금리 상승은 해당 통화의 강세로 이어진다. 글로벌 투자 자금이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자산에 몰리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관세 인상 자체가 달러화 상승을 부추긴다는 의견도 나왔다. 실제로 달러화는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이후 11월과 12월 강세 흐름을 탔고, 2020년 대선 결과가 나온 이후에는 내림세를 나타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연말은 물론이고 2025년 이후에도 미국의 관세 정책이 외환시장의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하는 한편 변동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한다. 관세 폭탄을 맞은 국가들이 수출 경기에 직접적인 타격을 맞고 성장이 둔화되면 해당 통화의 하락 압박이 불가피하고, 상대적으로 달러화를 끌어올리는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는 얘기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오드리 차일드 프리만 G10 외환 전략가는 칼럼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 2기의 무역 정책과 재정 정책이 적어도 단기적으로 달러화 강세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캠페인 당시 자신이 당선되면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60% 혹은 그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달러화 결제망을 이탈하는 국가에 100% 수입관세를 물릴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제시한 감세안도 강달러에 힘을 실어주는 대목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법인세를 공약대로 낮추면 기업의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플레이션 상승을 부추길 것으로 전망한다. 이 때문에 연준의 금리 인하 폭이 축소될 여지가 크고, 피벗을 빌미로 달러화 하락에 베팅했던 세력이 일정 부분 발을 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스코프 마켓은 보고서를 내고 “트럼프 2.0의 정책은 기본적으로 인플레이션 편향적”이라며 “연준이 11월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를 강행할 가능성이 커 보이지만, 이미 12월 전망에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반영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상세기사 큰이미지


유로/달러 패러티 현실화되나

주요 10개국 통화 가운데는 특히 유로화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이날 유로화는 달러화에 대해 장중 2.1% 하락했다. 중국과 함께 유로존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타깃으로 지목됐고, 이 때문에 유로존 경제 성장에 흠집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유로화 ‘팔자’로 이어졌다. 일부에서는 유로화와 달러화 환율의 패러티 가능성을 제기했다. ABN 암로와 ING 등 유럽의 주요 투자은행(IB)들은 앞으로 수개월 안에 1유로당 1달러 환율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일본의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과 독일 도이체방크는 2024년 말까지 유로/달러 환율이 1.03~1.05달러까지 떨어지는 시나리오를 예고했다. 관세 인상이 현실화될 경우 미국과 유로존의 경제 펀더멘털에 희비가 엇갈릴 수 있고, 이는 통화정책에도 온도 차이를 가져올 전망이다. 유로존의 경제 성장이 크게 둔화되면 유럽중앙은행(ECB)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 높은 통화완화에 나설 여지가 높고, 이는 달러화에 대한 유로화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ABN 암로는 보고서를 내고 “연준이 인플레이션 재점화를 막기 위해 높은 수준의 금리를 유지하거나 금리 인상을 강행해야 하는 상황을 맞을 것으로 보이는 반면, 유럽중앙은행(ECB)은 경기 둔화에 대응해 금리 인하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라며 “이 같은 정책 엇박자가 현실화되면 유로/달러의 패러티가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도이체방크는 보고서를 내고 고객들에게 달러화에 대한 유로화 하락 포지션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천했다. 일본 미즈호도 마찬가지.

월가는 엔화 향방에도 바짝 긴장하는 표정이다.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에 바닥을 찾았던 엔화가 재차 하락, 정책자들의 외환시장 개입이 필요한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달러/엔 환율은 미국 대선 결과가 보도된 뒤 한때 154.71엔까지 상승, 엔화가 달러화에 대해 3개월래 최저치로 밀렸다. 이는 9월 중순 기록한 140.62엔에서 크게 오른 수치다. 일본의 최고 통화책임자 미무라 아츠시 재무성 재무관은 엔화 급락에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는 등 정책자들도 긴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쓰비시 UFJ 리서치 앤드 컨설팅의 고바야시 신이치로 이코노미스트는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달러/엔이 160엔 선에 근접하면 일본은행이 외환시장 개입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상세기사 큰이미지


중국 위안·멕시코 페소에 ‘조명’

신흥국 통화 중에는 중국 위안화와 멕시코 페소화가 월가의 조명을 받았다. 양국 모두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인상이 예고됐고, 두 통화는 2016년 대선 당시 하락 압박에 시달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에 힘이 실리면서 내림세를 보이기 시작한 위안화가 달러화에 대해 1% 이상 하락한 가운데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번 대선 이전부터 이미 달러/위안 변동성이 사상 최고치까지 뛰었다. 일반적으로 5~10에서 움직이는 변동성 지수가 11월 5일 대선을 앞두고 30까지 치솟았다.

이에 대해 소시에테 제네랄은 보고서를 내고 “미국 대선 결과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경계감이 위안화 환율 변동성을 부추겼다”고 설명했다. RBC 캐피탈 마켓의 앨빈 탠 아시아 외환전략 헤드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인민은행(PBOC)이 전반적인 달러화 강세 흐름에 이미 대비하고 나섰다”고 말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 인상을 공약대로 이행할 것인지 여부와 함께 중국 정부의 대응책에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

이 밖에 멕시코 페소화가 미국 대선 당일인 11월 6일(현지시간) 장중 한때 3.5% 폭락한 뒤 낙폭을 축소했다. 트럼프 2기의 관세와 이민 정책을 둘러싼 우려를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과정에서 “멕시코에 자동차 생산 공장을 짓는 업체들이 미국에 심각한 위협”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상호 : (주)뉴스핌 | 사업자등록 : 104-81-81003 | 발행인 : 민병복 | 편집인 : 유근석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승윤
주소 :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미원빌딩 9층 (여의도동) 뉴스핌 | 편집국 : 02-761-4409 | Fax: 02-761-4406 | 잡지사업 등록번호 : 영등포, 라00478 | 등록일자 : 2016.04.19
COPYRIGHT © NEWSPIM CO., LTD. ALL RIGHTS RESERVED.
© NEWSPIM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