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 ANDA 뉴스 | 월간 ANDA | 안다쇼핑 | 中文 | 뉴스핌통신 PLUS
회원가입로그인정기구독신청

치솟는 미국 국채 수익률...물가·금리 불확실성 커졌다

2024년 12월호

치솟는 미국 국채 수익률...물가·금리 불확실성 커졌다

2024년 12월호

상세기사 큰이미지

채권시장 흔드는 ‘레드 웨이브’
자경단 꿈틀...연준 스텝도 꼬인다


| 오상용 기자 osy75@newspim.com


붉은 물결을 일으키며 도널드 트럼프가 돌아왔다. 미국 국채시장은 짙어진 레드 웨이브(Red Wave·공화당의 백악관 및 상·하원 동시 장악) 구도에 몸서리를 치고 있다. 트럼프의 감세 정책으로 재정적자의 골이 깊어지고 그 구멍을 메우느라 국채 발행이 더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물가를 자극하기 쉬운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이민 정책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진행 경로에도 그늘을 드리운다. 이는 채권시장이 가장 싫어하는 불확실 요소다. 금리 인하 사이클에 돌입한 연방준비제도(Fed) 역시 스텝이 꼬일 수 있다. 주변국의 통화 정책도 자유로울 수 없다.

재정의 구멍은 더 커진다

11월 11일(현지시간) 현재 CNN의 개표 현황에 따르면 공화당의 백악관 및 상·하원 동시 장악이 유력해졌다. 이런 구도하에서는 공화당이 재정(예산지출과 세정)을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다. 트럼프의 세계관이 일사천리로 재정 정책에 투여된다. 감세는 트럼프의 전매특허다. 선거 과정에서 그는 집권 1기 때 내놓았던 감세책을 영구화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기업의 야성을 되살리기 위해 법인세를 더 내리고, 개인 소득세도 줄여줄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색깔의 녹색에너지 세액공제가 폐지되고 바이든표 재정지출도 일부 손질될 테지만, ‘트럼프 2.0’ 감세로 정부 세원은 더 쪼그라들 참이다. 재정적자는 장기적으로 더 심해질 위험에 놓였다. 트럼프 측은 감세에 의한 민간 경제 활력으로 재정의 토대가 오히려 단단해질 것이라 주장하지만, 역사적 경험은 정반대의 풍경을 가리킨다. 가뜩이나 코로나 팬데믹을 지나면서 국가부채와 재정의 건전성이 크게 훼손된 상황에서 세원의 약화는 적자보전 국채의 발행을 지속적으로 부추기게 된다.

지난 5월 의회예산국(CBO)은 ‘트럼프 집권 1기의 감세안’이 영구화하는 것만으로도 향후 10년간 재정에서 4조달러(연간 4000억달러)의 구멍이 생길 것이라고 했다. 미국의 씽크탱크인 CAP(Center for American Progress)는 CBO의 이런 계산에 바탕해 ‘트럼프 감세 영구화’로 2054년 정부 부채비율(GDP)은 206.9%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트럼프 1기의 감세책이 예정대로 2025년 일몰을 맞는 시나리오(부채비율 171%)에 비해 부채비율이 36%포인트 확대될 것이라는 이야기다. 여기에 트럼프의 추가 감세책이 더해지면 재정의 훼손은 심화하고 국채 발행속도는 더 빨라지게 된다.
상세기사 큰이미지


채권시장 자경단이 깨어난다

대선 윤곽이 드러난 11월 6일 미국 국채시장 금리는 일제히 치솟았다. 시차를 두고 글로벌 시장 금리도 뒤를 따랐다. 이글 에셋 매니지먼트의 채권 전략 부문 디렉터인 제임스 캠프는 “트럼프 재집권에 따르는 시장 위험은 재정규율의 훼손”이라며 “내년 어느 시점에 재정적자가 시장의 내러티브를 지배할 것”이라고 했다. 작금의 채권시장 출렁임은 맛보기에 불과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재정 문제는 태생적으로 눈덩이 위험을 지닌다. 미국의 경우 구조적 요인이 가세한다. 인구는 늙어가고 생산인력은 퇴장해 재정의 잠재 수요가 커지고 있다. 앞당겨 누린 성장(재정부양 주도의 경기호황)의 대가로 이자비용도 부풀고 있다. 역치점을 지난 지점에서 눈덩이의 증식 속도는 빨라지는데, 브레이크를 상실한 트럼프의 감세 정책은 이를 더 부채질할 공산이 크다.

이러한 재정 남발 혹은 재정규율 훼손은 인플레이션 불안과 함께 채권시장 자경단을 깨우는 각성제다. 장기물 국채 수익률의 구성에서 이는 기간 프리미엄(Term Premium)의 상승으로 표현된다. 뉴욕 연준의 ACM 모델을 활용한 10년물 국채의 기간 프리미엄은 지난 9월 11일 -0.29%에서 11월 초 0.29%로 58bp 급등했다. 해당 기간 10년물 수익률 상승폭(75bp)의 대부분이 ‘트럼프 재집권 시 심화할 재정적자(국채발행 확대)와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에 대한 시장의 보상(기간 프리미엄) 요구에 의한 것임을 보여준다.
상세기사 큰이미지


연준 스텝도 꼬인다

트럼프의 귀환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전망에도 불확실성을 드리운다. 그가 내걸고 있는 이민 정책과 무역(관세) 정책이 물가를 자극할 위험 때문이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대거 퇴장한 노동인력(베이비부머)을 대신한 것은 이민 노동자다. 트럼프의 이민 정책은 이러한 신규 인력의 고용시장 진입을 제한한다. 이는 서비스 부문을 비롯한 노동집약 영역의 인력 공급을 압박하기 쉬우며, 결과적으로 임금 상승을 부추겨 ‘인플레이션 진압의 라스트 마일(최종 국면)’을 뒤틀어 놓을 수 있다.

2022년 이후 서비스 영역의 임금 급등이 서비스 물가의 끈적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져 미국의 물가 고통을 키웠다는 점에서 이런 전개는 우려스럽다. 상품 물가 쪽에서는 트럼프의 고율 관세 정책이 불안 요소다. 트럼프는 모든 수입품에 일괄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약속했고, 최근에는 20%로 높일 수 있다고 했다. 중국산 수입품에는 60%의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공언했다.

이러한 보호주의는 미국 제조업을 살찌우고 노동자들의 빼앗긴 일자리를 되찾아줄 것이라고 단언했지만, 공짜는 없다. 당장에는 고율 관세에 의한 생필품 가격 인상이 우려스럽다. 집권 1기 때처럼 달러 강세가 그 충격을 제한할 수 있지만, 그때와 가장 큰 차이는 미국 사회가 집단적으로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경험했다는 것이다. 기업들은 관세를 빌미로 가격 인상에 적극성을 띨 수 있고, 가계의 기대 인플레이션도 다시 꿈틀댈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준의 금리 정책 경로도 헝클어질 수 있다. 이미 시장은 그 가능성을 반영 중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11월 7일 연방기금 선물 시장은 연준의 내년 금리 인하폭을 62bp로 반영 중이다. 내년 금리 인하 예상치는 몇 주 전의 90bp에서 크게 줄었다. 실제 트럼프의 귀환이 인플레이션 재점화로 이어진다면 연준의 금리 인하 중단 시점은 당겨질 수밖에 없다. 이는 주변국의 금리 인하 사이클을 단축시킬 위험을 내포한다.

레이먼드 제임스 인베스트먼트의 수석 시장전략가인 맷 오튼은 “미국의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5%를 넘어서면 걱정이 시작될 것”이라며 “그 추세가 되돌려지지 않으면 연준으로부터 새로운 이야기를 듣거나, 터미널 레이트(이번 금리 인하 사이클의 최종 금리)가 어디에 위치할지에 대한 가이던스를 좀 더 얻을 때까지 너무 많은 위험을 무릅쓰는 것은 꺼려진다”고 말했다.
상호 : (주)뉴스핌 | 사업자등록 : 104-81-81003 | 발행인 : 민병복 | 편집인 : 유근석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승윤
주소 :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미원빌딩 9층 (여의도동) 뉴스핌 | 편집국 : 02-761-4409 | Fax: 02-761-4406 | 잡지사업 등록번호 : 영등포, 라00478 | 등록일자 : 2016.04.19
COPYRIGHT © NEWSPIM CO., LTD. ALL RIGHTS RESERVED.
© NEWSPIM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