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 ANDA 뉴스 | 월간 ANDA | 안다쇼핑 | 中文 | 뉴스핌통신 PLUS
회원가입로그인정기구독신청

65세 이상 인구 1000만명 돌파…국민 20%가 고령층

2024년 09월호

65세 이상 인구 1000만명 돌파…국민 20%가 고령층

2024년 09월호

상세기사 큰이미지

전체 인구의 19.6%가 65세 이상
수도권에 고령층 집중...40% 차지
노동인구 감소...국가경쟁력 약화 우려


| 이경태 기자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4년 7월 사상 처음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국민 5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이라는 얘기다. 대한민국이 늙어가고 있다.

고령화 현상은 전 세계적인 문제지만, 대한민국의 고령화 속도는 그 어느 나라보다 빠른 것으로 파악된다. 2019년까지만 하더라도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5% 수준이었지만 이젠 20%에 육박하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시대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단순히 숫자의 문제가 아니다. 급격한 고령화는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서 활력을 잃게 만든다. 더구나 출생아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만큼 국가 경쟁력마저도 위태로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65세 이상 2019년 700만명대 → 2024년 1000만명대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주민등록 인구통계 시스템’에 따르면 7월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는 1002만446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총 인구 5126만5238명의 19.6%에 해당한다. 지난 7월 들어 65세 이상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1000만명을 돌파했다. 앞서 행안부는 7월 10일 65세 인구가 1000만62명이 됐다고 밝힌 바 있다.

65세 이상 연령별 인구를 보면 △65~69세 352만6690명 △70~74세 233만2941명 △75~79세 175만1817명 △80~84세 134만443명 △85~89세 74만6668명 △90~94세 25만9885명 △95~99세 5만7336명 △100세 이상 8688명 등으로 나타났다.

65~69세의 경우 전년 대비 23만5284명이 늘었다. 지난해 전년 대비 20만5911명이 늘어난 것에 비해 3만5000여 명이 더 늘어난 셈이다. 이는 올해 들어 60~64세 인구가 전년 대비 6만3507명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 해당 연령층에서 상당수 규모인 64세 인구가 65세 인구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의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22%를 차지했다. △서울 17.8% △부산 7.6% △경남 6.9% △경북 6.4% △인천 5.2% △대구 4.8% △전남 4.8% △충남 4.7% △전북 4.3% △강원 3.8% △충북 3.4% △대전 2.5% △광주 2.4% △울산 1.8% △제주 1.2% △세종 0.4% 등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인구도 수도권에 40%가량 집중된 상황이다.

정부 관계자는 “전국의 고령화 자체도 문제지만 인구가 계속 줄어들고 있고 고령인구 역시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이라며 “앞으로 고령화 인구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인구 구조”라고 말했다.
상세기사 큰이미지


고령화 따른 사회문제 확대 예고...저출산 대비·고령화 대응 절실

인구 관련 전문가들은 인구 고령화는 이미 예고된 것으로 갈수록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통계청이 운영하는 국가통계포털의 연령별 추계 인구(2025~2070년)를 보더라도 초고령화의 가속화를 확인할 수 있다. 5년 단위로 볼 때 65세 인구 비율은 △2025년 25.1% △2030년 30.1% △2035년 37.6% △2040년 44.9% △2045년 51.0% △2050년 56.4% △2055년 60.3% △2060년 64.1% △2065년 67.9% △2070년 69.4% 등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추계 인구 수가 이 같은 속도로 늘어가면서 각종 사회 문제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문제는 노동인구의 급격한 감소다. 노동력이 줄어들면서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이는 국가 경쟁력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와 연금 지출이 증가하면서 재정적 부담도 크게 늘어난다. 국가의 재정 건전성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젊은 세대의 세금 부담을 가중시킨다.

여기에 노인을 부양해야 하는 젊은 세대의 부담도 급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령 인구가 더 늘어나면 세대 간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 특히 주택, 일자리 문제 등에서 세대 간 이해관계가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고령 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 복지와 건강 관리의 중요성도 부각된다. 단순히 의료 서비스의 확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주거환경 개선, 사회적 활동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이 이어진다.

황남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고령화정책기획센터장은 “저출산은 굉장히 심각하게 보고 정부가 국가 비상사태라며 신경을 쓰는데, 현재 나타난 고령화에 대해서는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다”며 “우리 사회에 이미 벌어진 고령사회에서 베이비붐 1차 세대는 이미 노인에 진입했고 2차 세대 역시 노인 진입을 앞두고 있는 만큼 인구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할 고령자에 맞춰 대응책을 당장 찾아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호 : (주)뉴스핌 | 사업자등록 : 104-81-81003 | 발행인 : 민병복 | 편집인 : 유근석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승윤
주소 :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미원빌딩 9층 (여의도동) 뉴스핌 | 편집국 : 02-761-4409 | Fax: 02-761-4406 | 잡지사업 등록번호 : 영등포, 라00478 | 등록일자 : 2016.04.19
COPYRIGHT © NEWSPIM CO., LTD. ALL RIGHTS RESERVED.
© NEWSPIM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