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 ANDA 뉴스 | 월간 ANDA | 안다쇼핑 | 中文 | 뉴스핌통신 PLUS
회원가입로그인정기구독신청

투명TV 시장 개화 투명 올레드 기술은?

2024년 03월호

투명TV 시장 개화 투명 올레드 기술은?

2024년 03월호

| 김지나 기자 abc123@newspim.com

상세기사 큰이미지
‘CES 2024’ LG전자 부스.


지난 1월 9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24’에서 LG전자는 투명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를 공개하며 투명 TV 시대를 열었습니다. 투명 올레드 TV는 투명한 유리처럼 TV 스크린을 만들어 개방감과 주변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높일 수 있는 제품으로, 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가전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투명 올레드 TV의 핵심 기술은 투명 올레드 패널입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크게 투사형 디스플레이와 투과형 디스플레이로 나눌 수 있습니다. 투사형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없이 영상을 표현할 투명한 스크린에 빛을 투사해 이미지를 구현하는 기술입니다. 자동차 앞 유리에 속도 등을 표시하는 ‘HUD(Head Up Display)’가 대표적입니다.

투과형 디스플레이는 빛을 내는 디스플레이 자체를 투명하게 만들어 화면 뒤 물체를 볼 수 있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투사형 디스플레이와 다릅니다. 투과형 디스플레이는 투명 액정표시장치(LCD)와 투명 올레드로 나뉘는데, 두 패널의 가장 큰 차이점은 투명도입니다. 투명 LCD 패널의 경우 빛을 비춰주는 백라이트라는 부품이 별도로 필요하고, 빛이 액정과 편광판 등 다양한 부품을 거치면서 투과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투명 LCD의 투명도는 10%에 불과해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상세기사 큰이미지
LG전자가 ‘CES 2024’에서 세계 최초의 무선 투명 올레드 TV를 공개했다. [사진=LG전자]


반면 올레드는 화면의 가장 기본 요소인 화소(픽셀)가 스스로 빛을 내는 디스플레이입니다. 백라이트 및 각종 광학 시트류 등이 필요 없어 더 얇고 가벼우며 뛰어난 화질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으로 올레드는 발광층에서 내뿜는 빛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양극(Anode)은 투명한 소재를, 음극(Cathode)은 알루미늄 등 금속을 사용합니다. 화면의 한쪽이 금속으로 막혀 있으니 전원을 껐을 땐 패널이 검정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죠.

투명 올레드의 경우 양쪽 전극에 모두 투명한 소재를 사용합니다. 일부 금속을 아주 얇게 펴면 투명해지는 성질이 있는데, 이런 소재를 투명 올레드 앞뒤로 사용해 전원을 꺼도 화면 뒤가 보일 수 있는 것입니다. LG디스플레이는 2019년부터 투명도 40%급의 55인치 투명 올레드 상용화에 성공했는데, 이 투명도를 45까지 끌어올렸습니다. 일반적으로 유리창 투명도가 70%인 점을 감안하면 높은 수치죠.

투명 올레드보다 투명도가 높은 패널은 투명 마이크로 LED입니다. LED는 머리카락 정도 되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LED가 촘촘하게 배치돼 백라이트나 컬러 필터 없이 스스로 빛과 색을 내는 방식입니다. 투명 올레드와 비교해 투명도가 높고 내구성이 뛰어나 화면잔상(번인) 현상이 없다는 점이 강점이죠. 문제는 가격입니다. 삼성전자가 작년 출시한 89형 마이크로 LED TV 출고가는 1억원이 넘었는데, 여기에 투명 기술까지 더할 경우 초고가로 가격이 설정될 수밖에 없어 대중화 면에선 투명 올레드 패널이 우위에 설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상호 : (주)뉴스핌 | 사업자등록 : 104-81-81003 | 발행인 : 민병복 | 편집인 : 유근석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승윤
주소 :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미원빌딩 9층 (여의도동) 뉴스핌 | 편집국 : 02-761-4409 | Fax: 02-761-4406 | 잡지사업 등록번호 : 영등포, 라00478 | 등록일자 : 2016.04.19
COPYRIGHT © NEWSPIM CO., LTD. ALL RIGHTS RESERVED.
© NEWSPIM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