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 ANDA 뉴스 | 월간 ANDA | 안다쇼핑 | 中文 | 뉴스핌통신 PLUS
회원가입로그인정기구독신청

[나를 찾아줘] 잦은 문자에 불편…"내 일이라는 인식 필요"

2024년 02월호

[나를 찾아줘] 잦은 문자에 불편…"내 일이라는 인식 필요"

2024년 02월호

경찰청 독자 시스템 마련 중...“신속한 문자 발송 기대”
전문가 “시민의식 고취해야...적극적 홍보도 필요”


| 송현도 기자 dosong@newspim.com
| 조민교 기자 mkyo@newspim.com


실종경보 문자 발송이 일반 시민들의 관심을 크게 끌지 못해 최근 관심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경찰은 지난해 11월 20일부터 경찰청 독자 송출시스템을 통한 방안 마련에 나선 상태다. 현재의 행정안전부 재난 문자 시스템 대신 독자적인 시스템을 활용해 문자 발송 소요 시간을 단축하는 등 신속성을 높이고, 전산화로 업무를 경감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골자다.

경찰 관계자는 “독자 시스템 시행 시 프로파일링 시스템으로 실종 내용이 자동적으로 완성돼 발송하는 등 기존 방식보다 시간 소요를 줄일 수 있다”며 “기존 행안부 재난안전 문자 시스템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발전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두드러진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신고 후 문자 발송까지의 시간이 줄어든다는 것 말고는 시민들에게 크게 와닿는 차별점이 없기 때문이다. 이 관계자 또한 “시민들이 받는 체감은 크게 다른 것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종 문자 신고참여율 하향세...남겨진 숙제는?

이 때문에 하향세를 그리는 실종 문자 참여율을 높이는 방안은 실종경보 문자 제도를 당초 취지대로 활용하기 위해 남겨진 숙제다. 경찰은 신고를 통한 실종 시민 발견 시 ‘시민상 수여’ 등의 적극적인 시민 참여 유인책도 고민 중이다. 일단 전문가들은 독자 시스템 활용 시 시간이 줄어드는 것에 대해서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건수 백석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별도 운영을 통해 심층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적절하다”고 말했다.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또한 “피로감이 줄어들 것 같고 사람들이 더 긴급성을 유념해 경계심을 높이는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고 전망했다.

‘시민상’이나 보상금 등 시민참여 유인책에 대해서도 “범죄 신고를 할 경우 보상금을 주듯, 그런 부분이 필요하다. 범죄피해자기금도 있고 기금을 조성해서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임준태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등 긍정적 의견이 있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단기적 인센티브 정책은 근본적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한다. 부모님이나 어린아이 등 가족의 ‘실종’이 나와 내 가족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경각심과 시민의식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상세기사 큰이미지


홍보·교육 통해 ‘내 일’이라는 시민의식 높여야

이에 근본적으로는 ‘홍보’나 ‘교육’을 통해 시민의식을 고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김영식 서원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결국에는 시민의식의 문제라 시민의식을 가지게끔 관계기관에서 의미에 대해 홍보하는 수밖에 없다”며 “가족들의 아픔이라든지 실종자를 찾았다는 효능감을 느끼도록 사례들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하지 않을까”라고 주장했다.

이건수 교수 또한 “호응도를 높이려면 작은 관심과 사랑이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캠페인과 홍보가 필요하다”며 “상시적인 브로셔(안내서) 형태의 설명서나 공동 캠페인, 인터넷 홍보 등 다양한 형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도 “유인책으로 보상 정책을 생각할 순 있지만 더 중요한 건 실종이 나한테도 발생하고 우리 가족한테도 발생할 수 있다는 내용의 홍보나 교육을 통한 시민의식의 발현이 좀 더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상호 : (주)뉴스핌 | 사업자등록 : 104-81-81003 | 발행인 : 민병복 | 편집인 : 유근석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승윤
주소 :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미원빌딩 9층 (여의도동) 뉴스핌 | 편집국 : 02-761-4409 | Fax: 02-761-4406 | 잡지사업 등록번호 : 영등포, 라00478 | 등록일자 : 2016.04.19
COPYRIGHT © NEWSPIM CO., LTD. ALL RIGHTS RESERVED.
© NEWSPIM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