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 ANDA 뉴스 | 월간 ANDA | 안다쇼핑 | 中文 | 뉴스핌통신 PLUS
회원가입로그인정기구독신청

이전 2025.07월호 다음
ANDA
+
+
+
+

글로벌·재테크

2025.03월 ANDA
2025.04월 ANDA
2025.05월 ANDA
2025.06월 ANDA
2025.07월 ANDA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7월호

[이재명 시대] 대규모 2차 추경 속도전…내수 진작으로 경제 동력 살린다

출범 후 비상경제대응 TF 구성...‘2차 추경’ 급물살 필수 추경 두 배 30조 편성 유력...부채 확대 과제 소상공인·중소기업 회복 숙제...정부 개입 확대 | 백승은 기자 100wins@newspim.com | 이정아 기자 plum@newspim.com | 김기랑 기자 rang@newspim.com 이재명 대통령은 새 정부 출범 즉시 비상경제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올해 두 번째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예고했다. 내수 침체 장기화에 더해 미국발 상호관세까지 국내 경제를 짓누르는 가운데 2차 추경 편성을 통해 내수 진작에 힘을 쏟겠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총력 지원에도 나선다. 소상공인의 생존부터 폐업, 재창업까지 구조적으로 돕는 한편, 중소기업을 위해서는 정부 주도로 공정 거래 환경을 조성하는 데 집중한다. 새 정부의 1순위 과제로 손꼽히는 ‘줄라이(7월) 패키지’에도 역량을 모은다. 현재 우리 수출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고전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를 외교 총력전을 통해 방어하겠다는 복안이다. 30조 추경 추진 유력...국가부채 확대는 숙제 이번 추경은 한 달 전 산불 피해 복구와 같은 긴급 대응에 초점을 뒀던 ‘필수 추경’과 달리 내수 활성화와 경기 부양에 방점을 두고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추경 규모 역시 필수 추경보다 2배 이상 많은 30조원 수준의 편성이 유력하다. 올해 4월 정부는 산불 피해 복구,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위한 그래픽처리장치(GPU) 구입,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등에 13조8000억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했다. 이는 필수 추경이라는 이름처럼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최소한으로 편성됐다. 그러는 동안 한국 경제 성장률은 빠르게 약화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5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0.8%로 0.7%포인트(p) 대폭 낮췄다. 글로벌 투자은행들도 한국 경제 상황을 암울하게 보기는 마찬가지다. 국내외 41개 기관의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분석한 결과, 평균 성장률 예상치는 0.9%였다. 절반이 넘는 21개 기관에서 0%대 성장률을 제시했다. 가장 낮게는 0.3%를 점치기도 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새 정부는 2차 추경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내수 살리기를 추진할 방침이다. 대선 후보 시절 이 대통령은 추경 집행 계획에 관해 묻자 “내수 회복, 서민 지원 예산에 집중돼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정부가 추경으로 10조원의 재정을 투입할 경우 성장률이 0.3%포인트(p) 오르고, 30조원 투입 시 0.4~0.5%p가량 오를 것으로 봤다. 단순 계산 시 30조원대의 2차 추경을 단행할 경우 1%대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는 셈이다. 추경과 함께 줄어드는 나라 곳간은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다. 올해 말까지 국가부채(1차 추경 반영)는 1280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05조6000억원이 증가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48.4%로 작년(46.1%)보다 2.3%p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2차 추경 시 국가부채는 1300조 이상으로 불어나고 국가채무 비율도 상승한다. 이에 대한 추가 재원 마련 방안, 재정 건전성 유지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소상공인 ‘재도약’ 방점...중소기업 ‘공정 거래’ 중시 이 대통령은 우리 경제 구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들도 제시했다. 소상공인은 정리와 재기에 초점을 맞춘 ‘회복 탄력성’ 정책을, 중소기업은 상생과 공정 거래에 방점을 둔 ‘시장 질서’ 정책을 각각 내세웠다. 이는 정부가 개입해 민간의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는 이재명 정부의 철학을 뒷받침한다. 소상공인들은 단순한 생존뿐만 아니라 폐업, 재창업 등 ‘재도약’을 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돕고, 중소기업은 정부가 시장 질서에 적극 개입함으로써 공정 경쟁 환경을 조성한다는 청사진이다. 먼저 소상공인 정책으로는 폐업 후 재기를 지원하기 위한 대책이 강조됐다. ‘폐업 점포 재도약 패키지’를 통해 소상공인의 재창업과 업종 전환을 적극 지원하고, 상권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확대해 골목상권을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전통시장과 지역상권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 스마트상점 확산, 온라인 진출 지원, 맞춤형 경영 컨설팅 등을 통해 소상공인의 회복 탄력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또 상생협약제 도입을 통해 대기업 및 프랜차이즈와의 공정 경쟁을 유도하고, 상권 보호구역을 지정해 골목상권의 생존권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카드 수수료 인하와 임대료 부담 완화, 정책금융 확대 등을 통해 소상공인이 안정적으로 경영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중소기업 정책으로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육성과 연구개발(R&D) 투자 확대가 핵심으로 제시됐다. 특히 정부 주도의 공정 거래 생태계 조성을 통해 하도급과 대리점, 가맹점, 온라인 플랫폼 분야의 불공정 거래 관행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기술 탈취 근절과 기술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와 디지털 전환 지원, 수출 지원 강화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정책금융과 세제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을 뒷받침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대통령은 민생 정책의 일환으로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도 제시했다. 지역화폐 발행 규모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와 지역경제 선순환을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역화폐 발행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지역별 여건에 맞춘 맞춤형 설계로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또 지역화폐 결제 플랫폼을 디지털로 고도화해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불법 유통 방지 대책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관세장벽에 눌린 수출...‘줄라이 패키지’ 시험대 새 정부의 경제 과제 중 1순위는 단연 대미 관세 협상이다. 올해 1분기 한국 경제가 역성장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수출 부진을 심화시켜 경기침체를 불러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GDP는 -0.2% 역성장했다. 한은은 1분기 경제지표 전 부문이 전분기 대비 감소하면서 성장률도 뒷걸음쳤다고 풀이했다. 분기별로 역성장을 보인 건 지난해 2분기(-0.2%) 이후 3분기 만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한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고율 관세가 국내 수출기업의 부담으로 직결돼 경기둔화의 주원인 중 하나로 지목했다. 즉, 1분기 역성장은 내수 부진보다는 미국발 관세 충격에 따른 수출 위축이 더 크게 작용했다는 뜻이다. 수출은 한국 GDP의 약 40%를 차지하는 핵심 경제 동력으로, 미국의 관세 부과가 장기화하면 전체 경제 성장률 둔화도 불가피하다. 이에 새 정부는 미국 관세 해법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 4월 한미 재무·통상장관급 2+2 회의에서는 미국의 관세 협의 기간을 7월 8일까지 유예하는 ‘줄라이 패키지’에 합의했다. 다만 최근 미국 내 트럼프 행정부와 법원 간 관세 이슈가 불거지면서 줄라이 패키지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난관 속에서 이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급 경제외교를 통해 직접 한미 관세 이슈를 풀어나갈 수 있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새 정부가 출범한 6월 이후 초반 국정 운영에서 대미 관세 해법에 얼마나 역점을 두느냐가 한국 경제의 성장 회복 속도를 가늠하는 잣대가 될 전망이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7월호

종목 픽! 지주사·증권·저PBR·중국 주목

상법개정 수혜 지주사주 폭등 증시 활성화에 증권주도 수혜 청산가치 이하 저PBR주 주목 | 한태봉 전문기자 longinus@newspim.com 이재명 노믹스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당선이 확정된 6월 4일 코스피 지수는 72포인트(2.7%) 폭등한 2770포인트에 마감하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재명 대통령의 실제 공약 이행 과정에서도 추가적인 상승 여력이 상당할 전망이다. 증권가에서 주목하는 이재명 정부의 공약은 상법개정안을 포함한 자본시장 활성화다. 이를 통해 기업 지배구조 개선(주주권 강화, 경영투명성 제고), 투자자 보호 강화(공정한 거래질서 확립), 시장신뢰 회복(불공정 행위 제재)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상법 개정 수혜 1순위 저평가 지주사 폭등 자본시장 활성화가 현실화될 경우 오랜 기간 이어져 온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 문제도 해소될 전망이다. 이런 흐름 속에서 수혜 종목으로 꼽히는 건 심각히 저평가돼 온 지주회사다. 이미 올해 들어 주요 지주회사 주가는 상당 폭 상승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당선 전인 지난 4월에 “상장사가 매입한 자사주를 원칙적으로 소각하도록 하겠다”는 주주환원 정책을 제시한 바 있다. 지주회사 중 자사주를 많이 보유한 회사로는 SK(약 25%)와 롯데지주(약 32%)를 꼽을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재계 순위 상위 8개사 중 자사주 보유 비중이 높은 SK(37%), 롯데지주(44%)의 올해 누적 수익률이 높았다. 또 자회사 실적이 좋은 한화는 247%, HD현대그룹은 52%의 폭발적인 수익률을 기록했다. 반면 2차전지 시장의 부진으로 자회사 실적이 안 좋았던 LG는 3%, 포스코홀딩스는 -3%의 부진한 수익률을 보였다. 대선 결과가 확정된 6월 4일 하루 동안의 주가 움직임은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한 힌트가 된다. 주요 지주사 중에는 한화 21%, SK가 11% 오르며 향후 주가 상승 기대감을 높였다. 지주사 ETF 수익률 양호...차별화된 포트폴리오 눈길 지주회사 ETF(상장지수펀드)의 올해 수익률도 양호하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지주회사 ETF’는 올해 들어 38%의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자산 규모는 300억원 수준으로 작은 편이다. 특징적인 건 ETF의 포트폴리오가 일반적인 재계 순위와는 거리가 있다는 점이다. 보유비중 1위는 14%를 보유한 한진칼이다. 올해 경영권 분쟁 영향으로 한진칼 주가가 2배 가까이 폭등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보유비중 2위는 10.6%를 보유한 HD현대다. HD현대도 올해 자회사 HD현대중공업의 실적이 좋았다. 흥국증권 리서치센터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지주사들은 낮은 주주환원율과 불투명한 지배구조로 인해 저평가돼 왔다”며 “일반주주의 권익 보호, 자본 및 손익거래 등을 악용한 지배주주의 사익편취 행위 근절 등의 대선 공약이 순조롭게 이행된다면 지주사 주가 재평가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img6 증시 저평가 해소 기대감에 증권주 랠리 ‘코스피 3000포인트’ 돌파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증권주에도 투자자들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이미 주요 증권주는 올해에만 50% 이상 폭등하며 ‘이재명 노믹스’의 최대 수혜주로 각광받고 있다. 또 주식시장 회복세 및 거래대금 증가로 증권사 위탁매매 수수료가 큰 폭 증가할 거라는 기대감도 크다. 대형 증권사 중에는 미래에셋증권의 수익률이 가장 탁월하다. 올해 6월 4일까지 누적 수익률은 2배가 넘는 120%다. 대선 결과가 확정된 6월 4일 당일에도 13% 폭등하며 향후 실적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해외 부동산 손실이 정리되고 난 기저효과다. 올해 예상 실적도 양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밖에 삼성증권 5%, 한국금융지주 8%, NH투자증권도 4% 상승했다. 이미 작년에 큰 폭 상승했던 은행주 수익률 또한 올해도 양호하다.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모두 올해 30% 내외의 누적상승률을 기록했다. 증권주보다는 약한 흐름이다. 하지만 6월 4일 당일 상승률은 8% 내외로 꺾이지 않는 에너지를 보였다. 상상인증권은 보고서에서 “저금리 대환대출 정책자금 확대, 코로나 채무조정, 취약계층 중금리 대출 인터넷은행 설립, 저금리 고위험 대출군 확대 등의 정부 개입 심화로 은행주의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은행업권과 증권업권은 모두 사상 최대치 이익을 달성했다. 대부분의 제조업이 미국과 중국의 공세로 고전한 것과 비교하면 전혀 다른 세상이다. 금융주는 성장주이자 가장 강력한 내수주로 분류된다. ‘이재명 노믹스’는 여기에 날개를 달아줄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자들이 고배당과 주주친화 정책으로 유명한 은행주나 증권주에 몰리는 이유다. 반면 6월 4일에 전통의 수출주인 현대차와 삼성전자 주가 상승률은 1%대로 밋밋했다. 수출 주도 국가인 한국 입장에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은 치명적이다. 한때 제조업 강국이었던 한국은 이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초대형 핵심 기업 30여 개를 제외하면 조 단위로 영업이익을 내는 회사가 많지 않다. 자율주행,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같은 핵심 기술에서 미국과 중국에 뒤처지고 있는 한국 제조업에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이는 ‘이재명 노믹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다. 청산가치의 절반 이하...저PBR株 주목 한국 증시(코스피+코스닥)에는 총 2700여 개의 종목이 상장돼 있다. 이 중 무려 460개 종목이 흑자인데도 불구하고 주가순자산비율(PBR, 시가총액/순자산)이 청산가치(1배)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0.5배 이하로 거래 중이다.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900여 개의 코스피 종목 중에 PBR이 0.2배 이하인 종목도 10개가 넘는다. 청산가치의 5분에 1에 불과하다. 적자 기업과 무배당 기업을 제외해도 이 정도다. 한신공영, 전방, 동국홀딩스 등이 대표적이다. 이 기업들을 사들여서 청산가치 수준에 매각할 수만 있다면 5배 수익이 가능하다. 대주주들이 상속세 절감을 위해 상장기업 주가 저평가를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의 이소영 의원이 ‘상속세 및 증여세법’ 개정안을 최근 대표 발의했다. 핵심 내용은 PBR 0.8배 미만인 상장 주식은 비상장 주식처럼 자산·수익 등을 반영한 평가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평가 가액의 하한선은 순자산가치의 80%다. 대신 최대주주의 상속·증여세 20% 가산세율은 폐지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성장성이 낮은 전통 기업들은 PBR이 저평가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상장사에 동일하게 적용하면 상속세 부담이 상당히 커질 우려가 있다. 그럼에도 이 법안이 실행될 경우 저PBR 종목들의 급등이 예상된다. 이들 종목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img4 중장기적으로는 중국 소비주에도 관심 이재명 정부의 또 다른 수혜주로는 중국 소비주가 꼽힌다. 과거 수년간 소원했던 중국과의 관계 개선 시 상당한 수혜가 예상된다. 화장품 업종(아모레퍼시픽 등)이나 면세점 업종(호텔신라 등)은 과거와 달리 중국 로컬업체의 강세로 수혜가 제한적이다. 하지만 무비자 정책의 영향으로 카지노, 호텔 등은 수혜가 예상된다. 대표적인 카지노 관련주로는 파라다이스, GKL 등이 있다. 호텔 관련주로는 용산에 1730개 객실의 용산드래곤시티를 보유한 서부T&D가 꼽힌다. 한한령 해제 시에는 국내 최대 드라마 제작사로 중국으로의 판권 수출이 기대되는 스튜디오드래곤도 주목된다.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하이브(HYBE), 에스엠, JYP엔터테인먼트 등도 수혜가 예상된다. ‘이재명 노믹스’에 따라 상법개정안을 중심으로 한 자본시장 활성화 공약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 주식시장은 단순한 반짝 상승이 아닌 근본적인 체질 개선에 성공할 수도 있다. 주가도 이를 선반영해 이미 많이 오른 점은 부담스러운 요인이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7월호

연금·의료개혁 가속화 재정 뒷받침이 숙제로

공공의대 논란...“지역 의사 확대 효과 적을 것” 기초연금 등 공적연금 개혁 방향 “재설정” 주문 정년 연장·주 4.5일 긍정적...“세심한 접근 필요” | 양가희 기자 sheep@newspim.com | 신도경 기자 sdk1991@newspim.com | 이유나 기자 yuna7402@newspim.com 새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전 정부의 숙원사업이던 의료 개혁 추진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윤석열 정부가 의대 증원에 집중했다면, 이재명 정부는 공공의료 개혁에 집중할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후보 당시 의료 개혁 공약 1번으로 지역·필수·공공 의료를 강조했다. 특히 의대 없는 지역에 의대를 신설하고, 공공의료 사관학교를 만들겠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인천, 전북, 전남에 공공의대 3곳과 경북에 일반의대 1곳 신설을 검토하겠다는 구상이다. 李 공약 논란의 키워드 ‘공공·건보·비대면’ 문제는 공공의대 필요성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의료계는 공공의대를 신설하면 학생들이 늘어나는 것이 불가피해 의대 신설이 곧 의대 증원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 공공의대 신설이 지역 의사 유입 효과로 나타날 가능성도 낮다고 평가했다. 마상혁 공공의료대책위원장은 “공급을 늘리면 지역 의료를 강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불가능하다”며 “지역에 환자가 없어 의사들은 수도권으로 몰릴 것”이라고 예측했다. 마 위원장은 “지역 의료 문제의 근본적인 문제는 지역 붕괴 현상”이라며 “이 대통령은 인력 유출보다 지역 붕괴를 전반적으로 살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위협받는 건보 재정도 숙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20년 공개한 ‘2020~2060 건강보험 장기 재정 전망’에 따르면, 건강보험 재정은 2029년부터 누적 적자로 전환되고 2060년 누적 적자는 5765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14%에 불과한 국고 지원을 늘려 건보 재정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다만 국고 지원을 확대할 경우 세금 인상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그간 기획재정부가 신중한 태도를 보인 만큼, 구체적인 목표와 평가 결과가 시급한 상황이다. 무상의료운동본부는 “일부 질환과 항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제시만 있을 뿐 임기 5년간 달성할 목표 보장률을 제시하지 않았다”며 “이 방식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저인 한국의 건강보험 보장성을 획기적으로 확대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 대통령이 제시한 ‘비대면 진료 제도화’도 논란의 중심에 섰다. 비대면 진료는 환자가 의료기관에 방문하지 않고 자택에서 컴퓨터나 화상통신 등을 활용해 의사에게 영상으로 진찰이나 처방을 받는 의료 서비스다. 복지부는 작년 2월부터 전국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했다. 국회 입법조사처의 ‘만성질환자의 건강 결과 개선을 위한 비대면 진료의 효과’에 따르면 의료 사고에 대한 책임 소재 불분명, 플랫폼 업체의 질 관리, 비대면 진료 후 약 배송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무상의료운동본부도 비대면 진료가 제도화되면 플랫폼 기업이 이를 의료 상업화에 이용할 수 있다며 우려 섞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기초연금 ‘부부감액 축소’ 찬반 엇갈려 연금 개혁 과제도 남아 있다. 윤 정부는 지난 3월 보험료율(내는 돈)과 소득대체율(받는 돈)을 조정하는 모수 개혁만 일단락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부부가 동시에 연금을 수급할 때 감액되는 현상 해결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기초연금은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인정액 하위 70%에게 지급된다. 부부가 동시에 기초연금을 받으면 남편과 부인 모두 기초연금액의 20%가 감액된다. 두 명이 살 때 생활비와 주거비 지출이 2배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1.5배로 느는 원리인 가구균등화지수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기초연금 부부감액 단계적 축소에 대한 전문가들의 입장은 상반됐다. 유종성 연세대 한국불평등연구랩 소장은 개인의 권리를 강화하고 결혼으로 인한 불평등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유 소장은 “부부감액 제도를 폐지하면 가구 형성을 촉진할 수 있고 노인의 상호 돌봄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초연금 부부감액 제도를 추진할 때 재정이 많이 들 것”이라면서도 “독거노인 발생으로 드는 사회적 비용보다 감액 제도 폐지에 드는 비용이 더 적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반면 석재은 한림대 교수는 노인 빈곤 감소에 초점을 두고 선별적 차등 급여로 재편할 목적이라면 부부감액은 유지되는 것이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석 교수는 “국민연금을 그대로 둔 상황에서 보편적 기초연금을 재정으로 조달하는 것은 지속가능성에 상당한 부담”이라며 “빈곤 해소 효과도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기초연금 방향을 근본적으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는 전문가들 모두 공감했다. 유 소장은 소득인정액 하위 70%에게 주는 기초연금 방식을 소득에 따라 감액하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금처럼 기초연금을 정액제로 지급하면서 부부감액까지 추진하는 것은 재정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석 교수도 “부부감액 폐지 등 단편적 제안보다 노후보장 관점에서 기초연금 발전 방향을 재정립해야 한다”며 “국민연금 관계를 재정립하는 가운데 방안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년 연장·주 4.5일제 ‘세심한 접근’ 필요 노동 분야 공약에서 가장 눈에 띄는 키워드는 ‘65세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다. 이 대통령의 후보 시절 공약집에 따르면 법정 정년을 65세까지 단계적으로 연장한다. ‘회복과 성장을 위한 정년 연장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연내 입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고령자 고용지원금 상향 등 정부 지원을 강화하고, 근로시간 개선 등에 대한 노사 자율합의 지원체계도 구축한다. 정흥준 서울과기대 교수는 “인력이 필요한 기업은 문제없지만, 덜 필요한 기업에 대한 세심한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지금도 고용촉진지원법에 의거해 고령자 고용지원금을 지급하지만, 지원액이 크지 않고 절차가 복잡해 신청률이 떨어진다”며 “절차 간소화 및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년 연장에 따른 근로시간 조정과 임금체계 개편도 불가피하다. 정흥준 교수는 “대기업의 경우 (인건비) 지불 여력이 있어 (고령자 고용지원금) 지원 대상에서 빠질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주 3일제, 주 4일제나 주 30시간 등 근로시간을 조정한다면 기업 수용성이 높아질 수 있다. 연공급제를 운용하는 공공기관 등은 근로자 생산성을 고려해 직무급제를 채택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주 4.5일제의 경우 범정부 차원 로드맵을 수립, 시범사업 실시 지원 등이 공약집을 통해 제시됐다. 과로사 예방을 위한 대책 수립 및 실노동시간 단축 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 등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정 교수는 “(업종과 기업 특성상) 주 4.5일제를 하기 쉬운 곳이 있는 반면 어려운 기업이 있다”며 “법으로 맞춰버리면 일손이 필요한 기업에 부담이 되기에 주 4.5일제를 지원한다는 것인데, 이들 주 4.5일제 실현 기업은 기본적으로 워라밸을 실현했을 가능성이 높기에 세제 혜택이나 각종 인증 등으로 기업 명성을 높이는 방식의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괄임금제 금지 규정 명문화, 퇴근 후 업무 연락을 지양하는 ‘연결되지 않을 권리’ 보장도 공약집에 언급됐다. 포괄임금제는 이미 부분적으로 도입된 만큼 반발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다. 정 교수는 “문제가 되는 포괄임금제 운영 방식은 기본급에 연장근로수당을 넣는 형태”라며 “이 경우 정확하게 계산하지 않고 포괄임금제를 통해 무제한으로 일을 시키는 ‘공짜 노동’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현행 제도에 맹점이 있는 만큼 현장 반발이 거세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정 교수는 “그간 제도를 너무 남용해 왔다”며 “기업은 일을 시키는 대로 (임금을) 주면 된다. 법에도 포괄임금 관련 근거가 없는데 (현장에서) 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결되지 않을 권리’에 대해 정 교수는 “(한국 노동 문화에) 새로운 개념이지만 필요하다. 빨리 안착될 것”이라며 “젊은 노동자들은 퇴근 이후 업무 연락에 마지못해 응하는 것이지, 사실은 원치 않는다. 상식적으로 다들 (퇴근 후 업무 연락을) 하면 안 된다는 것을 알고 있으니 (제도가 적용되면) 업무시간에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 교수는 공약집을 통해 공개된 이 당선인의 노동정책 방향에 대해 “전반적으로 취약 노동자에 대한 배려가 눈에 띄는 것이 특징”이라면서도 “여성 공약, 전 국민 고용보험, 사회적 대화 관련 부분이 빠져 있지만 집권 이후 어차피 챙겨야 할 부분이다. 더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2035 NDC 제출 난항 예상...“새 정부 서둘러야” 환경 분야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및 로드맵 설정이다. NDC는 향후 10년간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와 세부 경로를 정한 것이다. 2015년 세계 여러 국가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억제한다는 ‘파리 협정’을 맺고 2020년부터 5년마다 NDC를 설정해 국제사회에 제출해 오고 있다. 계엄과 탄핵 정국으로 새 정부 출범 이후 NDC 발표 시기와 제출 시기도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앞서 6~7월 중 2035 NDC 초안 공개 일정을 밝혔다. 최종안은 오는 9월 중 유엔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으로서는 취임 후 3개월 안에 NDC 최종 제출을 위한 모든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2035 NDC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 40% 감축을 목표로 하는 현행 2030 NDC보다 엄격한 수준으로 설정해야 한다. 난항이 예상되지만,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NDC에 대한 구체적인 감축 목표와 로드맵을 밝히지 않아 지적을 받았다. 공약집에는 ‘2030년 온실가스감축목표 달성 추진과 과학적 근거에 따른 2035년 이후 감축 로드맵을 수립’한다고만 언급됐을 뿐이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최근 공개한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현황과 주요 쟁점’에 따르면, 전환 부문의 탈탄소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원전·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지속 추진 중이나 물리적 한계로 2035 NDC 목표 상향 여력이 부재하다. 특히 보고서는 높은 제조업 비중과 에너지 다소비 업종 위주의 구조적 한계로 2035 NDC 감축 시나리오 도출에 애로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는 국제사회의 환경 기준에 맞추기 위해 조속한 2035 NDC 설정과 이행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윤 정부에서 3년 동안 실질적인 탄소 감축 정책을 시행하지 않아 2030 NDC도 가능할지 의심되는 상황”이라며 “한국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해 빠르게 2035 NDC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7월호

두 얼굴의 스테이블코인 시장 핵심 변수 부상 ‘주목’

트럼프 2기,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안 본격 추진 스테이블코인, 美 국채시장 새 수요처로 주목 테라·루나 사태 재연될라...유동성 리스크 및 시스템 위기 가능성도 | 시드니=권지언 특파원 kwonjiun@newspim.com 가상자산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 서클(Circle)이 6월 초 뉴욕증시에 상장한 뒤 단 나흘 만에 주가가 270% 폭등하면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뜨겁다. 법정화폐에 연동돼 가격 변동성이 적은 스테이블코인은 결제와 송금 수단으로 활용된다. 비자·마스터카드·페이팔 등 글로벌 결제 서비스 기업들도 잇따라 이를 채택하면서 기존 금융 인프라와 빠른 융합이 이뤄지고 있다. 일등 공신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다.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편입한 트럼프 행정부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을 추진 중이다. 미국의 달러 패권을 확장하려는 전략 도구로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면서 관심은 더 높아졌다. 미국 국채를 담보로 발행되는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단순한 디지털 자산을 넘어 금리·환율·무역 정책과 직결되기에 ‘거시경제적 변수’로서의 중요성도 갖추고 있다. 글로벌 자금 흐름이 점차 디지털 달러로 옮겨가고 있는 가운데 스테이블코인을 단순한 투자 대상이 아니라 새로운 금융 인프라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할 시점이다. 트럼프 행정부, 스테이블코인에 ‘진심’인 이유 스테이블코인 1개가 1달러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배경에는, 사용자가 1달러를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예치하면 발행사가 그 돈을 보관해 1개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해 주는 구조가 있다. 이는 은행에 1달러를 맡기면 통장에 1달러가 찍히는 것과 유사하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예치금을 투자해 수익을 내야 하는데, 가장 안전하면서도 이자를 기대할 수 있는 미국 단기 국채(T-Bills)가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바로 이 점이 미국 정부가 스테이블코인 활성화에 적극적인 이유다. 미국은 현재 국가부채가 36조달러를 넘었다. 약 176일마다 1조달러씩 부채가 증가한다. 막대한 부채의 이자를 지급하기 위해서라도 미국 정부는 국채 발행을 지속해야 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으로 달러화와 미국 국채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면서 국채 발행 부담은 날로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스테이블코인이 해답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성장하면 미국 국채 거래가 그만큼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스테이블코인 시장 시가총액은 2473억달러(약 337조원)로 최근 1년간 54.5% 성장했다. 이 중 약 65%가 미국 국채에 투자된 상태다. 시총 기준 최대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만 해도 2025년 3월 기준 945억달러 상당의 미국 단기 국채를 보유 중이다. 이는 전 세계 사람들이 테더를 사용할수록 간접적으로 미국 국채를 매입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씨티은행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1조6000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미국 정부 입장에서는 그만큼 안정적인 국채 구매자를 확보하는 셈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보고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의 법제화가 미국 단기 국채 수요를 높일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가 8월을 목표로 추진 중인 두 개의 법안 중, 상원의 지니어스(GENIUS) 법안은 이미 상원 은행위원회를 통과해 전체 표결을 앞두고 있다. 하원의 스테이블(STABLE) 법안은 하원에서 계속 논의 중이다. 비트와이즈 자산운용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간은 “스테이블코인 법안이 통과되면 전 세계로 달러가 수출돼 달러의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힘을 강화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뱅가드 글로벌의 금리 담당자인 로저 할람의 경우 “단기 국채에 대한 수요 증가는 재무부가 만기가 짧은 재정증권(T-bill) 발행을 늘려 재정적자 조달에 활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스테이블코인 성장 뒤에 도사린 ‘테일리스크’는 스테이블코인은 안정적인 가치를 지닌 디지털 자산으로 설계됐지만, 극단적인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테일리스크’도 간과할 수는 없다. 대표적인 위험은 담보 자산의 불충분 또는 유동성 부족이다. 준비금의 투명성이 낮거나 발행사가 일방적으로 상환 조건을 바꿀 수 있는 구조라면, 투자자 신뢰가 무너질 경우 급격한 환매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의 1달러 페그(고정 가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가치가 붕괴되는 결과를 낳는다. 특히 테라·루나 사태에서 보듯이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담보 자산 없이 가격을 유지하려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위험성이 더 크다. 이러한 시스템은 수요가 급감하거나 시장이 붕괴 신호를 감지할 경우 자기강화적 붕괴 과정에 들어서기 쉬워 단기간에 시장 전체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최근 스테이블코인이 글로벌 결제망과 디파이(脫중앙금융) 등에 깊이 통합되면서 하나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실패가 전체 금융 시스템에 파급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채권시장과 위험을 주고받으며 악순환 고리를 형성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미국 재무부 자문위는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으로 은행 예금이 감소할 경우 국채 수요 기반이 오히려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채시장이 어떤 이유로든 스트레스를 받게 돼 미국의 지급 능력에 의구심이 생길 경우 국채를 안전자산으로 여기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또 발행사가 국채를 대량 매도하거나 뱅크런이 발생할 경우 단기물 수급 불안이나 국채시장 혼란이 야기될 수 있으며, 발행사가 수익률을 높이는 데 혈안이 돼 위험자산을 매입할 경우 기대만큼 국채 수요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스테이블코인이 또 다른 금융공학의 도구로 전락해 대규모 시스템 위기를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7월호

대폭 강화된 ‘상장폐지’ 주의하세요

시가총액·매출 등 상장폐지 요건 강화 2026년부터 퇴출기업 대폭 늘어날 듯 2029년 코스닥 137개사 새 상폐 기준 해당 | 김연순 기자 y2kid@newspim.com # 김치냉장고 ‘딤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위니아가 상장폐지 수순을 밟았습니다. 2023년 10월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한 뒤 올 초까지 회생계획안 제출 기간을 연장했으나, 정해진 기한 안에 회생계획안을 제출하지 않아 4월 말 법원으로부터 회생 절차 폐지 결정을 받았습니다. # 지난 20년간 한 건도 없었던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 바이오 기업의 상장폐지도 현실화됐습니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5월 코스닥시장위원회를 개최해 코스닥 상장기업 파멥신의 상장폐지를 결정했습니다. 특히 2010년대 후반부터 2020년대 초반의 2차 바이오벤처 붐 당시 상장했던 기업들의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는 건데요. 수년째 이어온 기업들의 실적 부진과 거래소의 상장유지 요건 강화 등의 기조가 맞물려 기술특례 바이오 기업의 퇴출은 앞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금융당국이 상장폐지 기준을 대폭 강화하면서 2026년부터는 주식시장에서 퇴출되는 기업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투자자들은 강화된 상장폐지 요건을 감안해 투자 종목 선정에 주의해야 합니다. 올해 초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는 주식시장의 질적 수준 제고를 목표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제도 개선은 저성과 기업의 신속한 시장 퇴출을 통해 자본시장의 신뢰도를 높이고 기업의 밸류업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번 개정에 따라 상장폐지 요건은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현재의 시가총액 50억원, 매출액 50억원 기준이 2029년까지 각각 500억원, 300억원으로 상향되고, 코스닥시장에선 현재의 시가총액 40억원, 매출액 30억원 기준이 2029년까지 각각 300억원, 100억원으로 상향됩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의 경우 2026년 시가총액 기준은 200억원, 2027년 300억원, 2028년 및 2029년 500억원으로 점진적으로 강화되는 겁니다. 다만 코스피는 시가총액 1000억원 이상, 코스닥은 600억원 이상인 경우 매출액 기준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감사의견 비적정(미달) 사유에 대한 기준도 엄격해집니다. 기존에는 2년 연속 감사의견 미달 시 개선 기간을 부여받을 수 있었으나, 개정안에서는 별도의 사유가 없는 한 2년 연속 미달 시 즉시 상장폐지 처리된다는 걸 주의해야 합니다. 상장폐지 절차도 효율화했습니다. 현행 제도상 코스피는 최대 2심에 개선기간 4년, 코스닥은 최대 3심에 개선기간 2년으로 운영돼 상장폐지 심사가 비효율적으로 장기화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에 금융당국은 심사 절차 효율화를 위해 코스피는 개선기간을 최대 4년에서 2년으로 절반 수준까지 축소하고, 코스닥은 심의 단계를 3심제에서 2심제로 축소함과 동시에 최대 개선기간도 2년에서 1년 6개월로 축소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상장폐지 기준 강화에 따라 2029년 기준으로 코스피 상장사 중 약 7%(62개사), 코스닥 상장사 중 약 8%(137개사)가 새로운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솔그룹의 한솔PNS(옛 한솔텔레콤)는 상장폐지 요건 강화로 2027년 상폐 가능성이 높아지자 주식시장 내 저상과 기업으로 퇴출되기 전 선제적으로 자진 상장폐지를 선택했습니다. 자사주 소각 의무화와 상법 개정안 등 자본시장 규제 강화 움직임이 거세지자 자발적 상장폐지를 시도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 점도 유의해야 합니다. 자사주 비중이 44.11%에 달하는 통신 솔루션 기업 텔코웨어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시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급감해 경영권 방어를 위한 선제 조치로 상장폐지를 결정했습니다. 자사주 비중과 지배주주 지분 구조에 따라 향후 상장폐지 후보군이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7월호

월 400만원 ‘간병비 폭탄’ 보험으로 대비하셨나요?

대선에서도 ‘간병비 공약’...제도화 전까지 보험이 유일한 대안 보험사 상품별 보장 범위·갱신 조건 등 꼼꼼히 확인해야 | 이윤애 기자 yunyun@newspim.com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간병비’가 한국 가계에 새로운 부담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간병비는 12만~15만원 수준으로 한 달 평균 400만원에 달한다. 장기 입원이 필요한 고령 환자나 가족을 둔 가정에서는 간병비만으로도 경제적 위기를 맞을 수 있어 ‘간병 파산’이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이 같은 흐름은 정치권에서도 주요 의제로 부상했다.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모두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간병비에 건강보험을 적용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그러나 제도화까지는 관련 법령 개정, 재정 확보 등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보험사의 간병 특약 상품을 활용하는 방안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보험사 간병 특약 상품 ‘다양화’ 보험사들은 다양한 간병 특화 상품을 내놓으며 관련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 KB손해보험은 ‘KB골든케어간병보험’을 통해 요양병원 장기 입원 시 간병비를 지원하는 보장을 내세우고 있다. 삼성화재는 ‘삼성 함께가는 요양건강보험’을 통해 장기요양 등급 판정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구조로 간병 리스크에 대응하고 있다. DB손해보험의 ‘나에게 맞춘 간편건강보험’은 기존 질환자도 가입 가능한 설계로 접근성을 높였다. NH농협손해보험은 ‘NH365일간병인보험’을 통해 가정간호까지 포함하는 종합 보장 구조를 선보이고 있다. 가입 전 ‘이것’ 꼭 체크하세요 다만 상품별로 보장 범위, 일당 지급 한도, 지급 조건 등이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의 생활 패턴과 가족 병력, 재정 상황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먼저 간병비 일당 지급 한도 축소 부분이다. 최근 보험사들이 리스크 관리를 이유로 기존 최대 20만원 수준의 일당 한도를 10만원대로 줄이는 방향으로 약관을 변경하고 있어 가입 전에 반드시 지급 한도를 확인해야 한다. 갱신형과 비갱신형의 구조 차이도 중요하다. 갱신형 상품은 일정 기간 후 보험료가 갱신되며 인상될 수 있는 반면, 비갱신형은 가입 시 정해진 보험료가 만기까지 유지된다. 특히 장기 간병 리스크를 고려하면 가능한 한 비갱신형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장기요양등급 기준 지급 여부도 확인이 필요하다. 일부 상품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급하는 장기요양등급을 기준으로 보험금 지급이 결정되기 때문에 등급을 받지 못하면 보험금을 수령하지 못할 수도 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국가 차원의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 논의는 고무적이지만, 당장 내일 간병비가 필요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보험 외에 대안이 없다”며 “장기 간병을 대비해야 할 고령자와 그 가족이라면 지금이라도 자신에게 맞는 간병 특약을 점검해 두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7월호

“100조원 펀드 조성 AI 집중 육성” 세계 1등 반도체 국가 도약 포부

AI 3대 강국 진입·미래전략산업 육성...반도체특별법 조기 제정 “K조선은 국가적 자부심...스마트·친환경 미래 선박 시장 선점” K배터리로 경제 재충전...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지원 | 정탁윤 기자 tack@newspim.com 이재명 대통령의 국내 산업 분야 공약은 인공지능(AI)과 반도체, K조선과 배터리, 신재생에너지, 항공우주 산업 육성 등으로 요약된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공약을 통해 “국가 주도로 100조원 펀드를 조성해 AI 산업을 육성하는, 건국 이래 최대 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해 한국을 ‘AI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또 “대한민국은 제조업 기반 수출 강국에서 세계가 부러워하는 정보기술(IT) 강국으로 성장했다”며 “이제 기술 주도 성장으로 IT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 도약해야 한다”고 말했다. AI 3대 강국 진입 목표...반도체특별법 조기 제정 구체적으로 ‘AI 3대 강국 진입과 미래전략산업 육성’ 공약을 위해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 지원 △AI 전문인력의 전문기업·연구소기업 설립 시 정책금융 지원 △AI 특화 시범도시 건설 및 권역별 AI 인프라 추진 △국가 AI 연구소 육성 및 우수 AI 인재에 대한 파격적 보상 체계 마련 등의 계획을 내놓았다. 이 대통령은 또 지난 4월 28일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1호 공약으로 반도체 산업 지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글로벌 경제 패권은 누가 반도체를 지배하느냐에 달려 있다. 반도체를 지키는 것은 우리 미래를 지키는 것”이라며 “압도적 초격차·초기술로 세계 1등 반도체 국가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반도체 특별법을 조기 제정하고, 국내에서 생산·판매되는 반도체에 최대 10%의 생산세액 공제를 적용하는 등 세제 혜택을 약속했다. 또 반도체 RE100 지원 및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신속 조성과 반도체 연구개발(R&D) 및 인재 양성 지원을 공약했다. 이 대통령은 AI와 반도체 육성 외에도 K조선과 방산, 배터리, 신재생에너지 육성 관련 공약도 내놨다. 특히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협력을 원하는 조선업 관련 공약 추진이 관심이다. 미래 선박 시장 선점...중소 조선사 경쟁력 강화 이 대통령은 미래 선박 시장 선점, 중소 조선사 경쟁력 강화 등을 골자로 하는 조선업 공약을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페이스북을 통해 “조선업은 대한민국 수출을 이끌고 일자리를 만들어온 핵심 산업이고 특히 세계 1, 2위를 다투는 선박 건조 능력은 대한민국의 자부심”이라며 “조선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려면 지속 가능한 성장전략이 절실하다”고 했다. 그는 먼저 “스마트·친환경 미래 선박 시장을 선점하겠다”면서 “LNG 선박과 전기 선박의 경쟁력을 높이고, 메탄올·암모니아·수소 등 친환경 연료와 선박용 배터리의 조기 상용화를 이끌겠다”고 했다. 또 쇄빙기술 적용 선박과 저온·극한 운항 선박을 개발해 북극항로 중심국가로의 도약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중소 조선사 경쟁력 강화를 위해 무역보험공사의 선수금환급보증(RG) 특례보증을 확대하고, 중소 조선사의 친환경 선박 R&D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특수선 건조와 MRO(유지·보수·정비) 시장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며 “특수목적선 선진화와 특수선 MRO 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중심으로 HMM을 비롯한 해양 물류 대기업 이전 유도, 동남권 투자은행 설립 등으로 해양수도 부산을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지원...‘배터리 삼각 벨트’ 조성 이재명 대통령은 “K배터리(2차전지) 산업은 대한민국 경제 대도약의 핵심”이라며 “K배터리로 대한민국 경제를 재충전할 것”이라고 공약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전기차 수요 둔화와 외국산 저가 배터리 공세로 수익성이 악화해 산업이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K이니셔티브의 중심축으로 K배터리 산업을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화재 위험을 줄이고 사용 시간을 늘리는 차세대 핵심기술 ‘전고체 배터리’의 연구와 상용화 지원, 국내 생산 촉진을 위한 세제 지원 등을 공약했다. 이 대통령은 “충청권은 배터리 제조, 영남권은 핵심 소재와 미래 수요 대응, 호남권은 핵심 광물과 양극재 거점으로서 중요한 지역”이라며 “세 곳을 잇는 ‘배터리 삼각 벨트’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항공·우주 산업 육성에 대한 공약도 제시했다. 항공 분야에서는 MRO 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핵심이다. 항공기 부품 국산화와 R&D 지원을 통해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사천과 인천을 각각 군용기·부품 제조와 해외 복합 MRO 중심지로 특화해 세계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우주 분야는 경남 우주항공국가산업단지를 세계적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발사체, 위성, 지상장비 등 전 분야에 대한 R&D를 확대하고, 진주·사천지구에 우수 인재와 기업 유치를 위한 정주 여건을 강화한다. 고흥의 발사체 산업 발전도 함께 병행한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7월호

규제보단 공급 확대로 주택시장 안정화 세제 개편은 ‘미지수’

신도시 재편·공공주택 확대...도심 복합개발로 직주근접 실현 재개발 규제완화·금융지원 확대...실수요층 주거 사다리 복원 | 최현민 기자 min72@newspim.com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는 기존 강조하던 투기 억제 중심에서 벗어나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 공급과 주거복지 강화에 역점을 둘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전 민주당 정부와 달리 부동산 가격 안정에 집중하면서 세금을 통한 부동산 가격 억제 정책은 자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초고가 아파트 가격 상승을 억제하던 정책에서 벗어나 중산층과 청년, 1인가구 등 주거 취약계층의 내 집 마련과 거주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공급 확대 중심의 정책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신도시 재편...자족형 주거지 조성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 시대를 맞아 세금 규제를 통한 주택가격 억제보다 공급 확대를 통한 시장 안정화를 모색하는 방향의 부동산 정책이 펼쳐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재명 정부는 수도권과 주요 광역도시를 중심으로 기존 신도시 재편과 새로운 자족형 주거지 조성을 병행할 계획이다. 1기 신도시는 신속한 재개발을 통해 낙후된 기반시설을 정비하고, 2기 신도시는 교통 편의성과 연계한 재건축을 활성화한다. 3기 신도시는 일자리와 주거, 교육, 문화시설이 조화를 이루는 자족형 도시로 설계해 중장기적 인프라 확충과 주택 공급을 동시에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기존의 ‘베드타운’ 이미지에서 벗어나 일상과 삶이 밀착된 생활권 중심 도시를 지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대선에서 강조했던 4기 신도시 조성은 공약에서 제외됐다. 아직 3기 신도시 사업이 초기 단계인 만큼 기존 1·2·3기 신도시의 완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선회한 것으로 추정된다.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역별로 특색 있는 랜드마크 거점도 육성한다. 이를 위해 도시 규제특례를 적용해 민간의 참여를 유도한다. 단순한 주택 공급을 넘어 지역경제와 도시 브랜드 가치를 함께 높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역의 역사문화유산이나 자연환경을 활용한 복합 개발을 통해 관광과 지역소득 창출까지 아우르는 모델이 추진될 수 있다. 도심 내 유휴부지를 활용한 직주근접형 공급도 확대된다. GTX 환승역과 철도차량기지, 공공청사 등 교통·공공시설 부지를 복합 개발해 역세권에 고밀도 주거지를 조성한다. 청년과 1인가구 수요를 반영한 ‘슬세권’ 및 주거복합 플랫폼형 주택도 대거 공급될 예정이다. 1인가구 맞춤형 쉐어하우스, 여성안심주택과 같은 특화주택도 확대해 취약계층의 주거 불안 해소에 나선다. 재개발·재건축 규제완화...주거 취약계층 집중 지원 재개발·재건축은 공공성 강화라는 전제하에 절차 간소화 및 용적률·건폐율 완화 등 전방위적인 규제 완화가 이뤄진다. 다만 완화 비율 등 구체적인 내용과 시점 등은 명시하지 않았다. 특히 정비사업의 최대 걸림돌로 꼽히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에 대한 계획도 빠졌다. 인허가 기간을 단축하는 ‘신속인허가제’를 도입하고 도시분쟁조정위에서 공사비 분쟁까지 심사해 공사비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인다. 이로 인해 사업비 절감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분양가 인하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계했다. 금융 지원 역시 확대된다. 생애최초주택 구입자나 무주택 실수요자를 대상으로 지역, 면적, 가격 요건에 따라 핀셋형 정책 모기지를 운용하고, 월세 세액공제 확대 및 전세자금 이차보전도 추진된다. 청년 1인가구에는 월세 지원과 더불어 지역 주거지원센터를 통한 정보 제공 기능도 강화된다. 공공임대주택은 생애주기별 수요에 대응한 맞춤형 공급이 추진된다. 청년, 신혼부부, 노년층을 위한 돌봄 특화형 주택을 포함해 고품질 공공임대 공급을 확대하고, 공공주택 의무비율을 높이는 방안도 추진된다. 토지임대부, 지분적립형, 분양전환형 등 다양한 형태의 부담 가능한 공공분양 모델도 병행된다. 공공임대 주택공급 로드맵은 법제화를 통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세사기 예방을 위한 제도 개편도 예고됐다. 전세사기를 사회적 재난으로 간주하고 피해자 지원 대상을 확대하며, 임대인이 전세보증보험에 의무 가입하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보증금이 일정 수준 이하인 임대인에게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예방과 피해 회복 모두를 겨냥한 조치가 담겼다. 이전 문재인 정부 때와 같은 세금으로 옥죄는 정책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 당시 ‘진보정권 집권으로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수요자들의 인식에 공감하면서도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세금을 활용하는 건 피하겠다는 입장을 수차례 피력했다. 강력한 세제 등 규제로 부동산 시장을 억제하려다 오히려 집값 상승과 시장 혼란을 야기한 문재인 정권을 답습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는 “공공의 역할을 강조하며 공급 확대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세제 부분의 경우 앞선 문재인 정부 때는 부동산 가격이 급등할 때였던 만큼 강화 정책을 내놨지만, 지금 부동산 시장은 침체돼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정권이 바뀌었다고 정책 면에서 큰 변화가 있을 걸로 보이진 않는다”면서 “세금 부분 역시 강화나 완화보단 현상 유지를 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6월호

시진핑 ‘쌍순환’의 재발견 中 핵심 테마주 3대 키워드

관세 리스크 속 재평가되는 중국 ‘쌍순환 전략’ 최대 목표는 내수 진작, 지원책 역량 확대 전망 ‘내수+보복관세 수혜+기술적 자립’ 키워드 주목 | 배상희 기자 pxx17@newspim.com 2025년 관세전쟁으로 가속화된 글로벌 경제 환경의 대변화와 탈세계화의 확산세에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은 ‘쌍순환(雙循環·이중순환) 전략’을 앞세워 돌파구 마련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지난 2020년 5월 14일 중국 당국이 제시한 ‘쌍순환 전략’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고 국내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두 가지 노선을 병행 순환시킴으로써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취지의 신(新)경제발전전략이다. 내순환(내수시장)과 외순환(외수시장)을 동시에 키우며 상호 간 발전을 촉진하겠다는 취지이나, 포커스는 내수시장 성장에 맞춰져 있다. 투자적 관점에서 다수의 현지 기관들은 ‘쌍순환 테마주’를 주목하고 있다. ‘내수 확대+보복관세 수혜주+기술적 자립’의 3대 키워드와 관련한 종목이 쌍순환 테마주의 대표 영역이다. 관세 리스크 속 ‘쌍순환 전략’ 조명 배경 글로벌 관세 압박은 쌍순환 전략의 시행에 있어 도전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 관세 압박이 수입 비용을 늘리고 글로벌 무역 환경에 영향을 미치면서, 기업들은 대체품을 찾거나 공급망을 재편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 다른 한편으로는 관세 압박이 중국으로 하여금 국내 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등의 기술산업 업그레이드와 자주적 혁신을 추진하도록 유도하는 기폭제가 될 전망이다. 중국 당국이 미국 관세 압박에 대응해 쌍순환 전략하에서 추진할 구체적 방안은 크게 다음의 4가지로 압축된다. ①내수 확대 : 국내 소비와 투자를 자극해 국내 시장의 매력을 강화하고 외부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인다. ②산업 업그레이드 : 첨단기술 산업의 발전을 추진해 서방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③공급망 다원화 : 단일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다원화된 공급망을 통해 위험을 분산한다. ④정책 지원 : 국내 기업을 지원하는 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특히 핵심 기술 분야에서의 자주적 혁신과 발전을 도모한다. 쌍순환 전략하의 최대 목표 ‘내수 진작’ 쌍순환 전략하에서 실현할 최대 목표는 내수 진작이다. 내수 진작은 현재 중국 경제가 직면한 최대 해결 과제로서 소비 지원책의 확대는 내수 성장 안정화, 외부 리스크 대응, 2025년 경제성장률 목표치 달성 등 여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중국 당국은 ‘내수 진작’을 2025년 실현할 최우선 정책 과제로 선정하고 공격적인 내수 진작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왔다. 올해는 이러한 흐름이 관세 리스크와 맞물려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중국의 대외 무역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부상, 관세와 각종 무역장벽 등의 리스크에 직면하면서 수출 관련 제조업에 일정한 교란이 초래될 수 있고 외수 성장 둔화가 야기될 수 있다. 중국 당국은 이에 대응해 내수 진작을 위한 정책 역량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부터 시행된 ‘두 가지 신규(兩新) 정책’의 강화가 대표적이다. ‘두 가지 신규 정책’은 대규모 설비 업그레이드 및 노후 소비재 교체를 의미한다. 2025년에는 이들 정책의 적용 범위와 규모가 한층 더 확대되면서 소비 섹터 전반에서 투자 기회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문기관의 진단이 나온다. 중신(中信)증권은 당국의 정책적 지원하에서 2025년 한 해 ‘사회 소비품 소매 총액’ 증가율은 4.8%로 2024년 3.5%보다 1.3%포인트 높아질 것이며, 내수 확대는 대외 리스크에 대응할 중요한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주목할 쌍순환 테마주 ‘3대 핵심 키워드’ 현지 전문기관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쌍순환 전략에 연계된 종목, 일명 ‘쌍순환 테마주’는 크게 3대 키워드 산업과 맞물려 있다. ①대대적인 정책 지원이 예상되는 내수 관련 산업(대소비 등) ②중국의 대미 보복관세에 따른 반사 이익이 기대되는 산업(농업과 목축, 희토류, 식품가공 등) ③공급망 불안 속 중요성이 더욱 커진 기술적 자립(기술 국산화) 주도 산업(반도체 등)이 그것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기관들이 공통적으로 꼽는 핵심 투자 방향은 대소비(大消費) 산업과 연계된 내순환(내수시장) 테마주다. 대소비란 일반적 용품을 비롯해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관련 소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식품·음료, 일상 용품, 자동차, 가구, 농산품, 제약, 미디어, 전자·정보 등 분야가 광범위하다. 현지 전문기관들은 실적이 급증한 상황에서도 주가가 여전히 저점에 있고 낮은 주가수익비율(PER)을 기록하고 있는 ‘고성장+저평가’ 소비주들에 주목한다. 이들은 향후 시장 평균 수익률을 상회할 가능성이 큰 종목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산하의 데이터 산출 플랫폼 수쥐바오(數據寶)에 따르면 대소비 섹터에 속하며 올해 들어 주가가 하락한 종목 중에서 15개 종목은 지난해 순이익 증가율이 50%를 넘었고 PER이 15배 미만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기관 진단 ‘쌍순환 전략하의 투자 방향’ 태평양(太平洋)증권은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과 중국 내수 정책 촉진하에 대소비 테마주가 지속적으로 시장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중에서도 1분기 양호한 실적 달성이 예상되고 펀더멘털(기초체력) 논리가 지속적으로 검증되는 종목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보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섹터별로는 특히 간식, 유제품, 식품·음료 영역의 흐름을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중신건투(中信建投)증권은 중국 당국의 쌍순환 전략하에서 ‘내수 부양+보복관세 수혜’의 두 가지 투자 노선에 적극적으로 포지셔닝하고, 정책 드라이브와 실적 회복세 속에서 투자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 같은 진단하에서 전자, 식품·음료, 자동차, 가전, 농림목축어업, 방직·의복, 의약·바이오, 뷰티케어, 군수산업, 비즈니스 소매 등의 산업을 주목할 것을 권고했다. 화태(華泰)증권은 관세 충격이 발생한 후에도 상대적으로 강한 수익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홍콩 주식에 대한 낙관론을 내놓으면서 ①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정책적 역주기 조절(경기 주기의 변동성을 안정화하고 부정적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목적. 경기 하방 압력 확대 시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을, 경기 과열 시 시장의 진정을 유도하는 정책을 펼침)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소비주, 특히 AI 산업 업그레이드와 내수 상승 논리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종목 ②수익 상승에 대한 기대치가 확고하고, 자주적 기술 자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책적 지원이 예상되는 홍콩 하드코어 테크놀로지(인공지능·우주항공·바이오·반도체·정보·신소재·신재생에너지·스마트제조 등으로 대표되는 최첨단 기술) 관련주 ③남향자금(南向資金·남하자금, 중국 본토 A주에서 홍콩증시로 유입되는 투자 자금)의 유입 비중이 높고, 외국인 자본 변동의 영향이 적으며, 기대수익이 안정적인 고배당주 등에 주목할 것을 권고했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6월호

환율전쟁 시대 ‘脫달러’ 가속 투자자들 ‘새 판 짜기’ 분주

대만달러 등 亞 통화 초강세...“아시아 금융위기 반대 상황” 약달러 장기화 상정하고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 필요 | 시드니=권지언 특파원 kwonjiun@newspim.com 2025년 상반기 전통적인 ‘달러 안전지대’라는 인식이 설 자리를 잃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강화와 불안정한 외교 기조는 달러를 ‘불확실성의 통화’로 바꾸어 놓았다. 4월 초 이른바 ‘해방의 날’ 관세 선언 이후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자 달러에서 자금을 회수한 글로벌 투자자들은 새로운 안전판을 찾아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글로벌 투자자들이 새로운 안전지대를 찾고 있는 지금, 한국 투자자들 역시 ‘달러 중심에서 환율 분산 중심으로’ 전략을 대전환해야 할 때라는 지적이다. 말만 무성하던 ‘달러 회피’가 현실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무역 불균형 해소와 제조업 회귀를 명분으로 하는 ‘트럼프노믹스 2.0’이 환율을 정책 수단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아, 달러가 장기적 약세를 보일 것이란 주장들이 심심찮게 제기돼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5월 초 대만 달러 가치가 이틀 사이 무려 10%나 급등하자 약달러 본격화 전망이 급물살을 탔다. 대만 달러 초강세는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며 싱가포르 달러, 한국 원화, 말레이시아 링깃, 중국 위안, 홍콩 달러 등 다른 통화들의 강세로 이어졌다. 로이터통신은 이러한 움직임은 자금이 대규모로 아시아로 유입되고 있으며, 미국 달러의 주요 지지 축이 흔들리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게이브칼리서치 공동 설립자 루이-뱅상 게이브는 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이번 환율 급변동 상황을 보면서 “일종의 ‘아시아 금융위기의 반대 버전’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지난 1997~1998년에는 자본 유출로 인해 태국, 인도네시아, 한국 등 아시아 국가의 통화가 붕괴됐고 이후 해당 지역서 대규모 달러 비축이 진행됐지만, “이제는 그 거래가 더 이상 통하지 않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시장분석기관 스펙트라마켓 대표 브렌트 도넬리는 “미국 달러/대만 달러 환율은 광산의 카나리아와 같다”면서 “아시아의 미국 달러 수요와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미국 달러를 지지하려는 의지는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달러에 대한 시각이 바뀌고 있는 신호는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대만 달러 초강세 직후 낸 메모에서 자사 고객들이 최근 위안화 숏(매도) 포지션에서 롱(매수)으로 전환했으며, 이는 달러 약세를 예상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모간스탠리의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로빈 싱은 트럼프가 4월 2일 발표한 ‘해방의 날’ 관세 조치가 투자자들에게 경종을 울렸다고 지적했다. 투자자들이 달러에 대해 “비록 매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헤지를 시작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중장기적으로 보면, 사람들은 이제 자산을 다양화하는 방법을 고민하게 될 것이다. 더 이상 ‘달러 우위’라는 낡은 사고방식에 갇히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나틱시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게리 응은 “트럼프의 정책은 미국 달러 자산의 성과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약화시켰다”면서 “마라라고 협정(Mar-a-Lago agreement), 즉 달러 약세를 유도하는 어떤 합의에 대한 추측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BNP파리바의 아태 지역 금리 및 외환 전략가 파리샤 샘비는 “이제 단순한 소문이 아닌 실제 자금 회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형태가 어떻든 간에 이는 달러에 대한 지지가 흔들리고 있으며, 달러가 약세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탈달러화(de-dollarization)’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강조했다. 새 판 짜기 분주 트럼프 대통령이 야기한 달러 패권에 대한 신뢰 균열이 나타나면서 미국으로 흘러들던 무역흑자 기반의 글로벌 자금은 더 이상 자동적으로 미국채로 유입되지 않고 역내 채권 및 주식시장, 자국 통화 기반의 실물자산으로 되돌아오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자산 리밸런싱을 넘어 투자자들이 글로벌 외환시장 재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새로운 판을 짜고 있음을 의미한다. 과거 ‘달러 중심’ 투자 전략이 글로벌 자금 운용의 기본값이었다면, 이제는 ‘환율 분산’과 ‘지역 분산’을 동시에 고려하는 정교한 전략이 요구되는 국면이다. 지난 3월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설문조사에서 글로벌 펀드매니저들은 한 달 전에 비해 미국 주식 비중을 40%p나 대폭 줄였는데 역사상 가장 급격한 비중 축소였다. 펀드매니저들은 미국과 주식, 기술주, 에너지 산업의 비중을 줄인 반면 유로존, 영국, 신흥시장(EM), 현금, 필수소비재 산업 비중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흐름은 4월에도 이어졌다. BNP파리바에 따르면 4월 한 달 동안 유럽 주식 ETF에는 약 147억달러의 자금이 유입됐고, 4월 30일로 끝나는 주에는 유럽 주식 펀드에 146억4000만달러가 쏟아져 들어와 1년 만에 최대 주간 유입을 기록했다. 일본도 눈길을 끄는 투자처로, 4월 한 달 동안 일본 뮤추얼 펀드 시장에는 약 67억달러의 순자산이 유입됐다. 한국 투자자 입장에선 달러 약세 시기에 생기는 포트폴리오 조정의 기회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첫째는 환 헤지 없는 미국 자산 투자 비중을 줄이고 유로존 및 신흥국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전략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유럽중앙은행(ECB)이 물가 안정과 경기 부양 사이에서 보다 완화적인 입장을 취할 경우, 유로화 강세와 함께 유럽 주식 및 채권 자산이 상대적으로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싱가포르, 대만, 유로존 등 통화 강세국의 우량주, 현지 ETF, 혹은 해당 국가의 인프라·에너지 자산에 투자하는 글로벌 펀드가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들 국가는 수입물가 하락으로 실질 구매력이 높아지고 있어 내수·소비·기술주의 실적 반등 가능성도 높다. 둘째, 금과 원자재 등 실물자산으로의 분산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달러 약세는 통상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을 수반한다. 특히 금은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와 맞물려 안전자산으로서 재조명받고 있으며, 원유·리튬 등 전략 원자재는 공급망 재편과 맞물려 상승 여력이 크다. 환율 불안정성이 커질수록 실물자산의 비중 확대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내성을 키우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셋째, 글로벌 리츠(REITs)나 인프라 펀드 등 고정 수익 기반의 외화자산도 안정적인 수익원을 제공할 수 있다. 신흥국 통화채나 로컬 ETF 등 ‘신흥국 로컬 자산’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물론 아시아 신흥국 시장은 자국 통화 강세 덕분에 외국인 자금 유입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최근 몇 달간 한국 국고채, 인도네시아 루피아채 등에 글로벌 연기금 자금이 대거 유입되고 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단, 이들 자산은 변동성이 크므로 분산 투자와 기간별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 향후 주목할 변수는 트럼프 정부가 실제 관세를 어느 정도로, 어떤 타이밍에 단행할 것인지다. 현재로선 6월 중 관련 세부 정책 발표가 예고돼 있으며, 이는 외환 시장과 금리 시장 모두에 단기적 충격을 줄 수 있다. 또한 중국이 어떤 방식으로 보복할지, 미국과 유럽 간의 무역 재편이 얼마나 빠르게 진행될지에 따라 환율과 자산 가격의 향방이 달라질 수 있다. 결국, 지금은 단기 방향성보다 구조적 흐름을 읽는 안목이 필요한 시점이다. 장기적으로 약달러 흐름이 이어진다면, 한국 투자자에게는 글로벌 분산의 필요성과 함께 리스크 관리 역량이 더욱 요구될 전망이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6월호

온건과 극단의 관세 시나리오...결국 머무는 자가 이긴다

과거 장기 통계 ‘시장 체류 전략’이 승리 시사 저점 노리다가 ‘핵심’ 놓치면 수익률 대폭 저조 시야 짧을수록 구성 재편 통한 다각화가 핵심 | 이홍규 기자 bernard0202@newspim.com 주식시장의 시세가 지금처럼 급등락을 반복하며 주저앉는 상황에서는 ‘마켓타이밍’ 모색보다 ‘시장에 머무르는’ 전략이 오히려 장기 투자자에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저점 판단이나 추가 하락 예상을 통한 마켓타이밍 전략은 오히려 기회손실 위험만 키울 개연성이 높다.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크게 견인하는 ‘결정적 기간’을 놓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편향된 자산 구성으로 시장에 체류하는 것이 최적의 전략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단계적인 구성 재조정을 통한 분산화가 핵심이다. 최근 주가 급락을 유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각국과 협상이 전개되는 ‘유예기간’ 동안 다양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을 내포한 가운데 시나리오별로 어떤 대응이 요구되는지 전문가 분석을 종합해 봤다. “예측보다 참여가 긴요” 관련 의견을 확인하기에 앞서 과거 주식시장에 머무르는 전략의 장기 성과가 어떠했는지는 한 번 검토할 가치가 있다. 에드워드존스와 T로우프라이스의 20~30년 장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식시장의 ‘최고 성과 10일’만 놓쳐도 체류했을 때보다 최종 수익률이 절반 넘게 줄고, 20일만 놓쳐도 연평균 수익률이 마이너스로 전환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마켓타이밍 잡기를 시도해 소수의 중요한 날을 놓치는 것이 얼마나 큰 손해인지 보여주는 통계다. 2005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수익률을 집계한 T로우프라이스의 20년 통계를 보면 S&P500 1만달러 투자 시 20년 뒤 최종금액은 6만1750달러가 돼 연평균 수익률이 9.5%였지만, ‘최고의 10일’과 ‘최고의 20일’을 놓쳤을 땐 최종금액이 각각 2만2871달러와 9724달러가 돼 연평균 수익률은 4.2%, -0.1%로 파악됐다. 머무르는 전략을 구사했을 때보다 최종금액이 각각 63%, 84% 낮아진 셈이다. 물론 관련 결과가 수십 년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실감하기 어려운 통계로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주식시장의 수익 발생은 비정기적이고 집중된 형태로 나온다는 진실은 불변이다. 따라서 투자 기간이 수년으로 비교적 짧다고 해도 전체 수익률을 견인하는 핵심 기간이 어디에 어떻게 분포해 있을지는 파악하기 힘든 만큼 ‘예측’이 아니라 ‘참여’의 자세로 투자에 임하는 게 성공률을 비교적 높이는 전략이라는 조언이 나온다. 투자 기간이 수년으로 비교적 짧은 상황에서는 위험을 효과적으로 분산하는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구성이 더 중요해진다. 수십 년의 투자는 시간 자체가 자연스러운 분산 효과를 제공하는 반면, 비교적 기간이 짧은 상황에서는 한 번의 큰 하락이 전체 수익률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예를 들어 5년 투자 중 첫해 37% 하락이 있었다면 원금 회복을 위해선 나머지 기간 매년 12%의 수익률이 필요하다. T로우프라이스에 따르면 지난 30년 동안 포트폴리오 모두를 S&P500으로 구성했을 경우 연평균 수익률은 10.9%였지만, ‘연간 성과가 최악이었을 때는 수익률이 -37%’로 극악의 상황을 보였다. S&P500 비중을 줄일수록 연평균 성과는 낮아지지만, 최악의 시기 때 위험을 제한할 수 있다. S&P500에 40%, 채권에 60%를 배분했을 경우 연평균 수익률은 7.4%로 줄지만, 최악이었을 때는 -14.8%로 제한된다. 포트폴리오 분산화가 필요한 이유다. 시나리오 I : 온건 관세 전문가들에 따르면 상호관세 유예기간 동안 각국과의 협상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결과는 ①온건 관세 ②고율 관세 등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①시나리오는 대부분의 교역국에 대한 관세율이 약 10%로 유지돼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10~15%(종전 2~3% 추정) 수준으로 되는 경우다. ②시나리오는 평균 관세율이 25%에 가까워지는 상황이다. 유예기간은 미국 동부시간 오는 7월 9일 오전 12시 1분까지다. 유력한 결과로 기대되는 시나리오는 ①(JP모간웰스매니지먼트와 캐피털이코노믹스, 에드워드존스 등 예상)이다. ①에서는 관세 영향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성장이 둔화되지만 물가 상승률이 4%를 초과하며 침체에 빠지는 상황은 피할 것으로 상정한다. 물가가 재차 오를 가능성이 있지만 그 오름세가 비교적 완만해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소폭이라도 정책금리를 인하할 근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에드워드존스에 따르면 ①시나리오에서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1%로 둔화하고 연준은 하반기부터 정책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해 그 횟수가 올해 총 2~3차례일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연준 모델에 따르면 관세율의 10%p 상승은 약 1.4%p의 경제성장률 둔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추산됐다. 마이너스 성장의 분기가 있을 수 있지만 침체는 피할 것이라는 분석이 뒤따른다.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현재 2.4%에서 3.5~4%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①시나리오에서 권고되는 배분 전략은 주식 60%, 채권 35%, 실물자산 5%와 같은 구성으로 주식의 비중을 높여 분산화하는 것이다. 현재 주식시장의 투자심리가 극도로 비관적임을 염두에 두고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비교적 수월하게 회복할 것을 고려한 판단이다. 정책금리 인하도 투자심리 회복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성장과 실적 우려에 따라 주식 시세 자체는 변동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관련 전략에서 고려할 만한 주식으로 지목된 곳은 리쇼어링 추세에 부합하는 업종이다. 관세로 인해 기업에 비용 면에서 부담이 불가피하나 장기적으로 공급망을 미국으로 이동시키는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판단해서다. 미국에 매출 거점을 두고 사업을 전개하는 공업이나 일부 에너지 관련 기업이 수혜를 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로는 XLI(종목코드)와 XLE 등이 있다. 또 주식시장 시세를 크게 좌우하는 빅테크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S&P500 동일가중 지수에 투자하는 ETF인 RSP가 제시됐다. 미국 내 매출 비중이 비교적 크고 펀더멘털은 단단한 중형주에 투자하는 XMHQ도 권고 대상에 올랐다. 또 경기 방어적인 성격을 갖는 배당 성장 ETF인 VIG, 헬스케어 ETF인 XLV, 필수소비 ETF인 XLP도 추천됐다. 장기적 추세와 단기 시세 회복을 활용하면서도 방어적인 포지션을 구축해 두라는 이야기로 풀이된다. 온건 관세 시나리오에서 미국 국채 장기물 금리는 하락해 가격 상승이 전망됐지만 장기물보다는 인플레 위험에 대응하는 구조로 구축하라는 권고가 제시된다. 잠재적 인플레 위험에 취약한 장기물 위주의 편성보다는 정책금리 인하에 수혜를 볼 수 있는 단기물 국채, 그리고 인플레이션에 따라 투자금이 조정되는 물가연동국채(TIPS)에 초점을 두라는 조언이 뒤따른다. 관련 ETF로는 SHY와 TIP이 있다. 비교적 작은 비중의 배분이 권고된 실물자산 영역에서는 금이나 부동산·인프라 관련 투자처가 언급됐다. 금에 투자금을 배분해 인플레 위험과 불확실성을 대비하고, 현금흐름이 안정적인 인프라나 부동산 투자처를 통해서는 포트폴리오의 방어적 측면을 강화하라는 권고가 나왔다. 금 ETF로는 GLD가, 인프라와 부동산 관련 ETF로는 각각 IFRA와 VNQ가 있다. @img4 시나리오 II : 고율 관세 평균 관세율이 25% 수준으로 상승하는 ②고율 관세 시나리오에서는 주식 35%, 채권 55%, 실물자산 10%와 같은 형태의 배분 구성이 추천됐다. 자본 보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구성이다. 물가상승률이 5% 내외로 치솟고 연간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후퇴하며 주식시장의 약세장 가능성을 염두에 둔 전략이다. 주식에서는 방어주, 채권에서는 장기물과 TIPS 비중을 확대하고, 실물자산에서는 금과 현금으로 구성해 정책·경기 충격을 흡수하라는 조언이 제시된다. 채권에서는 장기물 국채의 적극 확대 검토 조언이 눈에 띈다. 단기적으로는 고율 관세로 인해 인플레 위험이 고조될 수 있지만 결국에는 경기 침체의 영향력이 더 크게 작용해 장기물 국채에 우호적인 여건이 형성될 것이라는 분석에 근거한 것이다. 그럼에도 TIPS를 통한 인플레 헤지는 필요하다고 봤다. 에드워드존스에 따르면 고율 관세 시나리오에서 10년물 금리는 4% 아래를 밑돌 것으로 전망됐다. 장기 국채 ETF로는 VGLT나 TLT 등이 있다. 금 비중의 적극적인 추가 확대도 방법으로 거론됐다. 최근 월가에서는 금값의 추가 강세론을 전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골드만삭스는 내년 중반까지 1년여 동안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로 현재 3400달러보다 17% 추가 상승할 것으로 보기도 했다. 경기 침체 공포감이 커질 경우 금 시세의 강세는 달러화 약세와 맞물려 더욱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 뒤따른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6월호

뉴욕증시 여름이 분수령…세 가지 변수는

상호관세 90일 유예 7월 종료 부채 한도 증액 없으면 디폴트 ‘연준 풋’ 불발되면 후폭풍 | 황숙혜 기자 shhwang@newspim.com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뉴욕증시가 오는 여름 또 한 차례 커다란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와 중국이 강대강 대치를 벌이는 가운데 90일 상호관세 유예가 7월 초순 종료된다. CNBC를 포함한 주요 외신에 따르면 상호관세를 부과한 국가는 90여 개국. 이들 국가와 약 3개월 이내에 협상을 타결하지 못하면 무역 전면전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가부채 한도 문제도 7~8월경 뜨거운 감자로 부상할 전망이다. 부채 한도가 상향 조정되지 않으면 디폴트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경고다.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 정책 딜레마 역시 여름철이 가까워지면서 한층 부각될 여지가 높다. 제롬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과 침체가 동시에 발생하면서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고 거듭 경고한 가운데 정책자들이 연이어 신중한 정책 결정에 무게를 두는 상황. 채권 트레이더들은 여전히 6월 금리 인하에 베팅하는 가운데 관세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연준 풋’ 기대가 좌절될 수도, 살아날 수도 있다는 의견이다. 관세 드라마의 결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총 145%의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앞으로 3~4주 이내에 협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자신했다. 월가와 주요 외신의 의견은 다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일부 미국 교역 상대국들이 중국을 글로벌 경제에서 고립시키는 대가로 미국의 관세 인하와 무역장벽 해소를 요구하는 움직임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JP모간은 보고서를 내고 “트럼프 행정부가 교역 상대국들과 일정 부분 협상을 이끌어낼 수 있지만 결국 큰 폭의 세율 상승으로 결론 날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기본 시나리오를 가정할 때 2025년 초 2%에 불과했던 실효 세율이 10~20%까지 뛸 것이라는 얘기다. 보고서는 “이는 수입 관세의 의미 있는 상승을 예고한다”며 “이로 인해 경기 둔화와 실업률 및 인플레이션 상승이 나타날 전망”이라고 전했다. 다만, 경기 침체는 간신히 피해갈 것으로 내다봤다. JP모간은 무역 마찰로 인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지는 한편 리스크 헤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예상한다. 변동성이 높은 환경에서 구조화 채권이 주식에 대한 방어적 노출을 제공하면서 옵션 프리미엄을 통한 수익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고 강조한다. 헤지펀드 업계의 경우 변동성이 주요 자산 전반에 걸쳐 시장 가격의 오류와 상대적 가치 기회를 활용할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JP모간은 전했다. 부채 한도 실마리 풀릴까 2025년 여름 금융시장에 또 하나의 분수령은 미국 부채 한도다. 미 의회예산국(CBO)은 8월까지 한도를 증액하지 않을 경우 미국이 디폴트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한 상황. 미국 의회 전문지 더 힐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 초당정책센터는 부채 한도를 늘려야 하는 이른바 ‘X-데이’가 7월 중순과 10월 초 사이 찾아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미 연방정부는 매년 거의 2조달러의 재정 적자를 내는 실정이다. 연방 공무원의 급여와 채권자에 대한 이자, 병원에 대한 메디케어 상환금 등 청구서를 지급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자금을 빌려야 한다는 얘기다. 이 같은 차입은 부채 한도의 적용을 받는데, 이는 의회가 결정하고 주기적으로 인상하는 상한선이다. 지난 15년간 의회는 반복적으로 한도에 임박한 시점에 결국 한도를 인상하거나 일시 중지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만약 상한선이 인상되지 않으면 미국은 일부 채무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게 된다. 가장 최근 합의에서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2025년 1월 1일까지 상한선을 일시 중단시켰고, 이후 재무부는 현금 보유고와 세수, 그 밖의 다양한 특별 조치에 의존해 청구서를 지급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의회와 백악관을 모두 장악한 공화당은 상원의 60표 필리버스터 장벽을 우회하는 예산 조정 과정의 법안에 부채 한도를 포함시키는 형태로 민주당의 도움 없이 부채 한도를 인상할 수 있다. 미국 상원에서는 일반적으로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필리버스터라는 의사 진행 방해에 대응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원 의원 60명의 찬성이 필요하다. 이를 ‘60표 필리버스터 장벽’이라고 한다. 하지만 예산 조정 과정이라는 특별 입법 절차를 통해 특정 예산 관련 법안들은 단순 과반수(51표)만으로 통과시킬 수 있어 일반적인 필리버스터를 우회할 수 있다. 마크웨인 멀린(오클라호마, 공화) 상원 의원은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공화당의 표만으로 충분하다면 좋겠지만 민주당과 협상이 필요한 경우 진흙탕 싸움이 벌어질 수 있다”며 “그들의 요구 수위가 매우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원 예산위원회의 민주당 최고위원인 브렌던 보일(펜실베이니아, 민주) 의원은 민주당이 공화당과 함께 부채 한도 인상을 통과시킬 의향이 있다고 강조한다. 민주당이 재앙적인 디폴트를 막기 위해 초당적으로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는 얘기다. 다만, 공화당이 사회 보장과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 보호를 위해 민주당과 협력해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의회예산국은 의회에 부채 한도 인상 실패의 결과에 대해 강하게 경고하는 한편 지급 불이행이나 디폴트에 대해서도 주의를 환기시켰다. 신용시장의 혼란과 경제 활동의 중단, 더 나아가 재무부 차입 금리의 가파른 상승 등 후폭풍이 닥칠 수 있다는 얘기다. 연준 발목 잡은 네 가지 변수 미국 국채선물 시장은 6월부터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를 강행, 연말까지 75~100bp(1bp=0.01%포인트) 떨어뜨리는 시나리오에 베팅한다. 윌리엄 더들리 전 뉴욕연방은행 총재는 블룸버그 칼럼을 통해 시장이 기대하는 ‘연준 풋’이 나오기 어려운 이유 네 가지를 제시했다. 무엇보다 전례 없이 불투명한 경제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과격한 관세 인상은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데다 정책의 변동성 역시 크기 때문에 경제 전망과 통화 정책 결정이 극도로 어렵다는 얘기다. 가파른 관세 상승이 가계와 기업의 구매를 앞당기게 하고, 일시적으로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도 있다. 지난 3월 자동차 및 부품 판매가 5.3% 급증했는데, 이는 2년래 가장 큰 폭의 증가였다. 이 같은 가짜 성장이 연준의 보폭을 더욱 좁힌다. 둘째, 미국 성장 잠재력이 갑작스럽고 급격하게 하락했다는 점이다. 무역 정책 변화는 장기적으로 미국의 생산성을 떨어뜨린다고 더들리 전 총재는 주장한다. 상대적으로 비교 우위가 작아 보호된 시장으로 미국의 생산 활동이 왜곡되고, 중국을 포함해 보복 관세를 시행한 국가로 수출을 줄이기 때문에 생산성 타격을 피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반이민 정책으로 인한 노동력 성장의 저하도 경제 활동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건설과 농업 분야에서 일손 부족 현상이 두드러지고,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성장이 둔화되면 기업들은 고용을 줄이고 실업률이 상승하게 된다. 일하고 싶어도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노동자들이 많아지면 통상 연준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내린다. 문제는 무역 정책 변화와 반이민 정책으로 미국의 성장이 둔화되더라도 연준의 금리 인하를 정당화할 만큼 실업률이 크게 뛰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라고 더들리 전 총재는 강조한다. 경제가 느리게 성장하더라도 연준이 금리를 내려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월가는 성장 둔화를 예상하면서도 실업률 전망치를 지난여름과 흡사한 수준인 4.2%로 유지하고 있다. 셋째, 물가 상승 압박이다. 인플레이션이 5년 연속 목표치인 2%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 경우 1970년대에 경험했던 것처럼 물가를 낮추는 비용이 크게 상승한다. 미시간대학의 서베이에 따르면 이미 소비자들의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크게 상승한 상황. 인플레이션은 연준 자체의 동향에 민감하고, 이는 경제 펀더멘털 둔화에 대한 연준의 대응 범위를 제한한다고 더들리 전 총재는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독립성에 대한 공격이 연준의 인내 필요성을 높인다고 그는 강조한다. 연준의 금리 인하가 백악관의 압박에 굴복한 것으로 해석되면, 중앙은행의 신뢰에 흠집이 발생하고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상승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압박과 파월 의장 해고 움직임은 오히려 역효과를 낸다고 더들리 전 총재는 강조한다. 미국 언론도 한목소리를 낸다. CNBC는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압박이 통화 정책과 금융시장에 커다란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채권시장이 기대하는 상반기 금리 인하가 좌절되고 여름을 맞으면 ‘연준 풋’의 상실감이 금융시장 곳곳으로 번질 수 있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6월호

“나도 비싼 가격에 ETF 매수? 괴리율 꼭 확인하세요”

올해 4월 괴리율 초과 발생 공시 1060건 국내보다 해외, 선진국 대비 신흥국 괴리율 높아 대형 운용사 관계자 “괴리율 작아야 좋은 ETF” | 이석훈 기자 stpoemseok@newspim.com 최근 괴리율이 급증한 국내 상장지수펀드(ETF)가 늘고 있습니다. 이에 투자 전 괴리율을 확인하는 게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4월 괴리율 초과 발생 공시 건수는 총 1060건입니다. 이는 전월(208건) 대비 5.09배 급증한 수치입니다. 괴리율 초과 공시 건수는 지난해 11월 273건을 시작으로 △12월(248건) △2025년 1월(159건) △2월(356건) 등 400건을 넘지 않는 선에서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지난 4월 1000건을 넘어선 겁니다. ETF 괴리율이란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와 시장가격의 차이를 비율로 표시한 투자위험 지표입니다. 자산운용사는 국내 투자 ETF의 경우 괴리율이 ±1%를 넘을 때, 해외 투자 ETF의 경우 괴리율이 ±2%를 넘을 때 이를 공시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괴리율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우선 유동성공급자(LP)의 호가 제시가 면제되는 시간에 LP 호가가 제공되지 않아서 괴리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전 동시호가 시간을 포함한 거래소 개장 후 5분, 즉 오전 9시 5분까지 호가가 면제되고 오후 장 마감 전 동시호가 시간인 오후 3시 20분부터 30분까지는 LP의 호가 제시 의무가 면제됩니다. LP가 헤지 거래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도 괴리율이 발생합니다. LP가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서 적절한 호가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그에 따른 위험을 없애기 위해 파생상품을 이용한 헤지 거래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LP가 헤지 거래를 실행하지 못하면 호가를 원활히 제공할 수 없게 돼 괴리율이 생기는 것입니다. 상품 구조에 따라 불가피하게 괴리율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령 나스닥100 지수의 벤치마크는 나스닥100 현물지수인데요, 미국 주식시장이 종료되는 한국시간 새벽 5시가 되면 이를 추종하는 ETF의 순자산가치(NAV)가 고정됩니다. 그러나 나스닥100 선물지수는 미국 시장 종료 후에도 24시간 운영되기 때문에 한국 시장에서의 실질적인 거래는 나스닥100 선물지수의 영향을 받습니다. 즉, NAV와 달리 시장거래가격은 선물의 영향을 받는 탓에 괴리율이 커질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해외투자 ETF는 변수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 개장 이후 ETF가 거래되더라도 투자 대상인 해외시장이 휴장일 경우 호가 제공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 한국과의 시차로 인해 호가 제공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괴리율은 현명한 투자를 위해 꼭 확인해야 할 지표입니다. 왜냐하면 괴리율이 양수일 경우 현재 거래되는 가격이 제 가격보다 높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무심코 매수했다가 비싼 돈을 주고 ETF에 투자하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괴리율이 클 경우, △LP 호가 제공 가능한 시간인지 여부 △투자 대상 시장이 휴일이나 휴장 시간인지 여부 △해당 ETF 벤치마크 등 구조적 이유로 괴리율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지 여부 등을 꼭 확인해 보고 투자해야 합니다. 또 국내보다는 해외가, 해외 중에서도 선진국보다는 신흥 시장이 상대적으로 괴리율이 높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헤지 수단이 제한적이고 거래비용이 높은 데다 제도적인 제약도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도 괴리율이 높은 경우 시장가치와 순자산가치의 격차가 그만큼 벌어진 가격에 거래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한 대형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아무리 운용이 잘 되는 ETF라고 해도 시장에서 매매할 때 NAV 대비 비싸게 사야 하거나 싸게 팔아야 하면 좋은 ETF라고 할 수 없다”며 “괴리율이 작을수록 호가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좋은 ETF”라고 설명했습니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6월호

“보험으로 효도하자” 치매·간병·시니어 건강 관리까지

인구 20%가 65세 이상...‘초고령사회’ 진입 보험사들, 시니어 맞춤형 상품·특약 잇달아 출시 | 이윤애 기자 yunyun@newspim.com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부모님의 건강과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효도 보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보험업계도 치매, 간병 보장 강화 및 시니어 건강 관리를 위한 특화 상품과 특약을 잇따라 선보이며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5122만1286명)의 20%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문제는 은퇴 후 고정소득이 줄어드는 반면 노인성 질환 증가 등으로 의료비 지출은 점차 늘어난다는 점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층의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약 500만원, 부부 기준으로는 연 1000만원이다. 보험업계는 가족 간 돌봄 공백, 금전 부담을 최소화하려면 관련 상품 가입이 권장된다고 설명한다. 대표 상품으로는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삼성 함께가는’이란 컨셉으로 동시 출시한 요양보험이 꼽힌다. 삼성생명 ‘삼성 함께가는 요양보험’은 장기요양 1∼2등급 판정 시 진단 보험금을 지급하고, 요양 진단 이전에 사망할 경우 가입금액 전액을 사망보험금으로 돌려준다. 치매 모니터링, 병원예약 대행, 간병인 서비스 등 다양한 케어 서비스도 무료로 제공한다. 삼성화재의 ‘삼성 함께가는 요양건강보험’은 건강수명 달성 시 추가적인 보험료 납입 없이 100세까지 보장을 연장해 준다. 방문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진단비 담보 3종을 탑재하고, 병원 퇴원 후 가정에서도 전문 요양보호사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KB손해보험은 초기 단계 치매 치료와 요양 관련 보장이 강화된 ‘KB골든케어간병보험’을 판매하고 있다. 특약 신설을 통해 기존 1~5등급까지만 보장하던 장기요양 간병비 보장을 인지 지원 등급까지 확대했다. 특약인 ‘치매 CDR척도검사지원비’는 올해 초 손해보험협회로부터 3개월간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하기도 했다. CDR 검사는 치매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필수 검사로 연 1회 보장된다. 흥국화재는 올해 업계 최초로 최경증 치매 치료비까지 보장하는 ‘흥Good 가족사랑 간편치매간병보험’을 출시했다. 한화생명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 등 병원 유형에 따라 간병인 지원금을 차등 지급하는 ‘The H 간병보험’을 판매하고 있다. 현대해상은 올해 초 질병 치료 이력은 있지만 건강한 유병자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반영해 고객 치료 이력 구분을 세분화해 맞춤형 가격을 제시하는 ‘내삶엔맞춤간편건강보험’을 출시했다. 입원과 수술 고지기간을 각각 5년까지 분리하고 총 35가지 가입유형으로 개인별 치료 이력을 세분화해 보험료를 최대 15% 할인해 준다. 시니어 헬스케어에 특화된 상품도 있다. 하나손해보험의 ‘무배당 하나더넥스트 치매간병보험’은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진단 시 케어 및 MRI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입 조건에 따라 간병인, 가사도우미, 펫시터 서비스 및 시니어 특화 케어푸드도 제공한다. 최근 보험사들은 시니어 사업 영역 확장을 위해 시니어 헬스케어와 요양 서비스를 연계해 노후 준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선보이기도 한다. KB라이프가 지난 4월 업계 최초로 내놓은 ‘KB골든라이프 시니어케어 요양돌봄 컨설팅’은 디지털 기반으로 요양 관련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전문 간호사와의 1 대 1 매칭 상담을 통해 맞춤형 요양 솔루션을 제공한다. 다만 보험을 선택할 때는 보장 범위, 가입 조건, 보험료, 보장 기간 등을 꼼꼼히 비교해 부모님께 가장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품마다 보장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개인에게 맞는 보험을 선택하고 가입 조건, 면책 기간 등도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6월호

포트폴리오 이렇게 짜라 다시 주목받는 채권

시장 불확실성 속 투자 전략 재정비 기회 수익률 상승으로 다시 주목받는 채권시장 채권시장 동향과 주요 ETF 투자 상품 | 김현영 기자 kimhyun01@newspim.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해방의 날’ 관세 발표 이후 시장은 후폭풍 앓이 중이다. 미국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팬데믹 시기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치솟으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웠다. 월가의 공포 지수로 알려진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4월 초 52.3까지 급등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S&P500 지수, 나스닥 종합지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등 미국 3대 지수 모두에서 ‘데스 크로스’ 현상이 발생하며 시장 참여자들의 불안감을 고조시켰다. 투자자들은 시장 공포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매수할지, 아니면 앞으로 다가올 더 큰 하락의 전주곡으로 보고 관망할지 고심이 깊어졌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오락가락하면서 2분기 시작과 함께 주가 하락, 채권시장 불안, 미국 달러화 약세 등 다양한 혼란이 가중됐다.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의 동시 발생)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1970년대만큼 심각하진 않더라도 미국 경제에 ‘길고 더딘 기어가기’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것으로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다시 부상하는 채권시장의 기회 S&P500 지수가 조정 국면에 진입한 만큼 포트폴리오 재정비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 속에 채권시장이 투자자들의 이목을 다시 끌고 있다. 낮아진 가격과 매력적인 수익률을 제공하는 다양한 상품들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어서다. 미국 경제가 경기 침체에 접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면서 채권 수익률은 연초 대비 상승했다. 4월 중순 현재 대부분의 미국 국채는 4% 이상의 수익률을 제공하며, 20년 및 30년 만기 국채는 5%에 육박하는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위험도가 높은 하이일드 채권(일명 정크본드)은 8%, 우선주는 7%, 정부기관 모기지 증권은 6%, 지방채는 5%에 가까운 수익률을 제공한다. 이는 현재 3% 미만인 미국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실질적인 긍정적 수익률을 의미한다. 하이일드 채권 시장의 동향과 ETF 투자 옵션 하이일드 채권과 미국 국채 간의 수익률 격차는 ‘ICE BoA 하이일드 인덱스’ 기준으로 올해 초 3%포인트 미만에서 현재 4%포인트로 확대됐다. 투자 등급 미만인 이들 회사채는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아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요구하는 상품인데,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 영향으로 경기 침체와 채무불이행 위험이 더욱 커지면서 수익률도 높아졌다.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투기 등급 채권의 연말 채무불이행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3.1%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2017년 10월 출시된 ‘아이셰어즈 브로드 USD 하이일드 코퍼릿 본드 ETF(USHY)’는 3~5년 중기물을 중심으로 미국 정크본드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상품이다. 200억달러 규모의 이 ETF는 ICE BoA 하이일드 인덱스를 추종하며, 운용 보수가 0.08%로 상대적으로 낮고 6.96%의 높은 수익률을 제공한다. 미국 지방채 시장의 매력과 투자 상품 지방채 시장도 주목할 만하다. 로스앤젤레스 젠터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댄 젠터 최고경영자(CEO)는 “지방채가 매우 매력적으로 변했다”고 말한다. 미국 지방채에 투자하는 ETF 중 자산 규모가 가장 큰 상품은 ‘아이셰어즈 내셔널 무니 본드 ETF(MUB)’로, 총 운용자산이 395억달러가 넘는다. 비용 측면에서는 ‘뱅가드 중기 비과세 펀드(VWITX)’가 투자자들에게 유리한 선택지가 될 수 있다. 모간스탠리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크레이그 브랜든 지방채 공동 책임자는 “최근 30년 만기 A 등급과 AA 등급 지방채의 수익률이 미 국채 30년물 수익률과 비슷한 약 5% 수준”이라며 “이는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절대 수익률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지방채는 역사적으로 높은 신용 품질이 장점이지만, 대규모 신규 발행에다 연방정부가 현재의 지방채 이자 세금 면제를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 주요 우선주 ETF와 고수익 투자 상품 3000억달러 규모의 우선주 시장은 세금 혜택, 안정적 배당, 유동성 덕분에 미국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는 대신 보통주보다 상환 우선순위가 높고 배당금 지급이 우선적이라는 점에서 안정적인 채권의 장점을, 채권보다 수익률이 높다는 점에서 주식의 장점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우선주 펀드 중에서는 총 운용자산 규모가 142억달러에 이르는 ‘아이셰어즈 프리퍼드 앤드 인컴 시큐리티즈 ETF(PFF)’가 대표적이다. 미국 우량기업 우선주에 분산 투자하는 이 ETF의 배당수익률은 6.84%이며, 29달러대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가장 수익률이 높은 우선주 중 하나는 비트코인 대량 매입으로 유명한 스트래티지(이전 마이크로스트래티지, MSTR)의 ‘마이크로스트래티지 10% 프리퍼드 시리즈 A(STRF)’로, 현재 나스닥에서 약 89달러에 거래되며 11.25%의 수익률을 제공한다. 시장 전문가들은 스트래티지가 우선주에 대한 자산 담보가 충분해 투자자들에게 안정성을 제공한다고 조언한다. 업체는 부채와 우선주 가치의 약 4배에 달하는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img4 투자 전략 정비와 포트폴리오 다각화의 중요성 이러한 채권 상품들은 주식 포트폴리오를 보완하는 훌륭한 투자 옵션이 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자신의 리스크 선호도와 투자 목표에 맞는 채권 상품을 선택해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 시장 변동성과 지정학적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현명한 자산 배분이 중요한 시점이다. 무엇보다 자신의 투자 목표와 시간 지평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장 변동성이 큰 시기일수록 감정적 결정보다는 합리적 판단이 필요하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5월호

방산 ‘머니 무브’ 글로벌 방산주 폭풍 랠리

국내 상장 K - 방산 ETF, 한화ㆍ미래에셋ㆍ신한 3파전 ‘한화 PLUS K방산 ETF’ 수익률 107% 압도적 1위 트럼프의 동맹국 방위비 확대 요구...K - 방산 호재 | 한태봉 전문기자 longinusnewspim.com 유럽을 중심으로 한 재무장 계획이 탄력을 받으면서 한국 방산주 주가도 연일 신고가를 기록 중이다. K-9 자주포, K-2 전차, FA-50 경전투기 등 한국 주력 무기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결과다. 기존 반도체와 자동차에 집중돼 있던 한국 수출구조 다각화도 현실화되고 있다. 이에 방산 ETF 수익률은 고공 행진 중이다. 방산 ETF의 원조는 한화자산운용의 ‘PLUS K방산 ETF’다. 지난 2023년 1월 신규 상장 후 순자산총액은 현재 5320억원으로 급성장했다. 최근 1년 수익률은 무려 107%다. 한국 전체 상장 ETF 중 압도적 1위다. 2위인 미래에셋 ‘TIGER K방산&우주 ETF’의 41% 수익률보다 2배 이상 높다. 수익률 격차가 큰 이유는 미래에셋 ETF의 원래 명칭이 ‘TIGER 우주방산 ETF’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위성 관련주와 로봇 관련주를 많이 편입해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지금은 K-방산주 위주로 포트폴리오가 변경된 상태다. 한화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방산 ETF 안에는 공통적으로 한국 방위산업 빅5로 손꼽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한화시스템의 비중이 높은 게 특징적이다. 현재 양 사의 포트폴리오 중 가장 큰 차이는 조선업이면서 군함 제조에도 관여하는 한화오션 편입 여부다. 한화운용은 한화오션 비중을 18% 이상 가져가는 반면 미래에셋운용 포트폴리오에는 한화오션이 빠져 있다. 이는 조선업 ETF와의 차별화 때문으로 해석되지만, 결과적으로 한화운용보다 수익률이 뒤처진 결정적 이유 중 하나가 됐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 영향으로 2025년 1분기 한국 코스피 지수는 지지부진한 3% 수익률에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한국 주요 방위산업체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92%, 한화오션은 80%, 현대로템은 110% 폭등했다. 그 전년도인 2024년에도 각각 162%, 49%, 87% 폭풍 랠리를 기록했다. @img4 트럼프의 동맹국 방위비 확대 요구...K - 방산 호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교훈을 얻은 전 세계 국가들은 전쟁 억제력과 군사력 유지를 위해 자국의 방위산업을 재점검 중이다. 지난 3년간 이 전쟁의 반사이익을 가장 많이 본 게 바로 K-방산이다. 현재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방위비 지출 목표는 GDP 대비 2%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 회원국들이 무임 승차하고 있다”며 “방위비를 5%로 대폭 상향해야 한다”고 반복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더 이상 유럽을 미국이 지켜주지 않겠다”는 트럼프의 선언이다. 이에 따라 EU를 중심으로 미국의 도움 없이 유럽을 방어할 힘을 키워야 한다는 자강론이 확산되고 있다. 대신증권 조승빈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러·우 전쟁과 중동 분쟁이 장기화되면서 글로벌 국방비 지출은 가파르게 늘어났다”며 “글로벌 국방비는 높은 성장률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늘어난 국방예산 중 상당 부분은 무기 구입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며 낙관적인 견해를 밝혔다. 여기서 두각을 나타낸 게 바로 K-방산이다. 한국은 지정학적 특성상 방위산업 생산설비와 기술력이 상당히 높다. 높은 방산 품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것도 장점이다. 첨단 무기는 정부 상대 수출이라 규모도 크고 거래 기간도 길다. 또 시장가격이 없어 마진도 높다. 수출 후 수리, 정비 등 애프터마켓 규모도 상당하다. 특히 러시아와 인접한 폴란드 등 유럽에서 K-방산 인기가 폭발하고 있다. 가장 인기 있는 3대 수출 장비는 K-2 전차, K-9 자주포, FA-50 계열 항공기다. K - 방산 2024년 매출 및 영업이익 폭증 한국 방산 1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K-9 자주포, 천무 다연장로켓 등 한국이 자랑하는 지상무기체계의 핵심 기업이다. 항공우주 기술을 결합해 전투기 엔진도 개발한다. K-9 자주포는 폴란드, 호주, 이집트, 루마니아 등에 수출됐다. 천무 다연장로켓포는 폴란드 외에도 말레이시아, 에스토니아, 노르웨이 등과 수출 협의 중이다. KF-21 전투기 엔진 및 핵심 구성품도 공급한다. 2024년 매출액은 11조24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2%, 영업이익은 1조7000억원으로 191% 폭증했다. 이는 폴란드 등으로의 K-9 및 천무 대규모 수출 덕이다. @img5 ‘한화오션’은 조선업이 주력이다. 대우조선해양을 한화그룹이 인수한 이후 방산 핵심 분야인 해군 전투함, 구축함, 잠수함 건조 등으로 영역을 넓혔다. 한국 최초로 한화오션이 독자 설계한 ‘장보고-III’는 3000톤급 잠수함이다. 고가 프로젝트의 증가로 한화오션의 2024년 매출액은 10조77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2379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올해는 특히 미국의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수주를 확대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NATO와도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대로템’은 원래 전동차 및 철도 기술에 특화된 기업이다. 하지만 해외에서 더 유명한 건 K-2 전차, 차륜형 장갑차 등 지상 무기다. 원래 내수기업이었으나 2022년에 폴란드와 K-2 전차 대규모 수출 계약을 체결하면서 수출기업으로 변모했다. K-2 전차는 현재 루마니아, 사우디아라비아, 슬로바키아 등과도 수출 협의 중이다. 현대로템의 2024년 매출액은 4조37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늘었고, 영업이익은 4500억원으로 117% 급증했다. 이는 폴란드와의 K-2 전차 계약 덕분이다. ‘한국항공우주(KAI)’는 경전투기 FA-50, 훈련기 KT-1, 헬기 수리온 등 다양한 항공기 플랫폼을 개발, 생산하는 기업이다. 폴란드, 말레이시아와 FA-50, KT-1 등의 수출 계약을 진행 중이다. 군용 항공기뿐 아니라 민수 항공기 부품도 생산한다. 한국항공우주의 2024년 매출액은 3조63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 줄었고, 영업이익도 2400억원으로 3% 감소했다. 이는 주력 사업인 완제기(전투기·헬기 등) 분야에서의 수출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한화시스템’은 지상, 해상, 항공 등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통합 시스템 능력이 뛰어나다. 다기능 레이더, 전투체계, 위성통신장비 등 첨단 기술력이 강점이다. 아랍에미리트연합(UAE)과 천궁-II ‘다기능 레이더(MFR)’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폴란드와는 K-2 사격통제시스템을 계약했다. 이들 프로젝트에 힘입어 2024년 매출액은 2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200억원으로 79% 급증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들과의 방산장비 수출 계약도 진행 중이다. ‘LIG넥스원’은 유도미사일, 어뢰, 대공미사일 등 다양한 정밀유도무기를 개발, 생산하는 기업이다. 레이더, 항공전자장비, 전자전장비 등의 첨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LIG넥스원의 간판 무기는 ‘천궁-II’라는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이다. UAE,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등 중동 3국으로 수출됐다. 2024년 매출액은 3조27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300억원으로 23% 급증했다. 본격 군비 확장...‘유럽 방산 ETF’에도 관심 필요 전 세계적인 군비 확장 열풍의 수혜주는 K-방산뿐이 아니다. 군비 확장의 주인공인 유럽에 위치한 방산 기업들도 상당한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다. 현재 미국 증시에 상장된 유럽 방산 ETF인 ‘셀렉트 스톡스 유럽 에어로스페이스&디펜스(EUAD) ETF’가 대표적이다. ‘EUAD ETF’는 2024년 10월에 신규 상장돼 고작 6개월밖에 안 됐다. 상장 직후 기대감으로 주가가 급등했지만 트럼프 관세 충격으로 4월에는 조정폭이 컸다. 시가총액 6000억원 수준의 소형 ETF다. 최근 유럽 방산주 투자 열풍으로 한국 투자자들에게도 주목받고 있다. @img6 ‘EUAD ETF’는 에어버스(유로파이터 타이푼 등), 샤프란(전투기 및 헬기 엔진 등), 라인메탈(전차·자주포 등), BAE시스템즈(전투기·전차·군함 등), 롤스로이스(군용 항공기 엔진), 탈레스(군용 레이더 등), 레오나르도(유로파이터 타이푼 등), 샤브(그리펜 전투기 등) 등에 고르게 분산 투자한다. 유럽 군비 증강의 직접 수혜가 예상되는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스웨덴 국적 회사가 대부분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트럼프의 재등장으로 전 세계적인 군비 확장 열풍이 불고 있다. 투자자들은 관세 전쟁 속에서도 폭풍 성장을 예약한 한국과 유럽 방산 기업들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5월호

美, 함정 건조법 개정 착수 함정 美수출 길 열린다

‘번스 - 톨레프슨 수정법’ 개정 전망...동맹국에서도 함정 건조 가능 미 해군, 함정 작년 295척에서 2054년 390척으로 늘릴 계획 미 MRO 시장 연간 약 20조원 규모...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수주전 참여 |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gomsi@newspim.com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미국 함정 수출 시장이 열릴 것이란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미 의회예산국에 따르면, 미 해군은 함정 규모를 작년 295척에서 2054년까지 390척으로 늘릴 계획이다. 노후 함은 퇴역시키고 연간 10척씩 신규 군함 364척(전투함 293척, 지원함 71척)을 투입한다. 이를 위해 총 1조750억달러(약 1560조원)를 지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내 조선업계에서는 이 중 상당수가 동맹국에 발주되면 “전례 없는 수준의 새 시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들어 미국 의회에서 해군 함정 건조를 한국과 같은 동맹국에 맡기는 것을 허용하자는 법안이 발의돼 귀추가 주목된다. 미국은 1920년 연안 항구를 오가는 민간 선박은 자국 내에서만 건조하도록 한 ‘존스법’을, 1965년과 1968년 두 차례에 걸쳐 미국 군함을 자국 조선소에서만 건조하게 한 ‘번스-톨레프슨 수정법’을 각각 제정해 자국의 조선 산업을 보호해 왔다. 그런데 최근 자국 조선업 쇠퇴로 전투함 수가 중국에 역전당하는 등 해양 패권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자, 급한 대로 군함 건조부터 동맹국에 맡길 수 있게 규제를 풀기로 한 것이다. 이 법안은 상·하원 다수 의석을 차지한 공화당에서 발의돼 의회 통과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한국 조선업계에 ‘SOS’ 미국은 세계 1위 군사 대국이지만 상대적으로 미국 조선소의 건조 역량은 한국과 일본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은 현재 5개의 조선소만 명맥을 이어가고 있고, 각 조선소의 연간 인도 척수는 평균 1.3척에 불과하다. 2024년 10월 미 의회조사국(CRS)에 따르면, 현재 미 잠수함의 약 30%가 수리 대기 중이다. 지난해 11월 7일 당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미국 조선업계는 한국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한국의 세계적인 선박 건조 능력을 바탕으로 선박 수출, 보수, 수리, 정비 분야에서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선박 보수·수리·정비, 즉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분야는 실제 양국 간 협력의 여지가 크다. 미국 입장에서 해군 함정을 외국 조선소에서 건조하는 건 법적 제한 때문에 어렵지만, MRO 분야에선 지금이라도 한국의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산업 부문을 제쳐놓고 조선업을 특정한 건 미국의 위기 의식이 반영된 것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미·중 간 대결의 무대인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해군력에 미국이 밀리는 지경까지 간 상황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해양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은 최근 10여 년간 빠르게 배를 만드는 역량을 강화하며 해군력을 키웠다. 특히 함정 수에서 2020년 350척으로 미국(293척)을 앞질렀다. 기술 수준까지 고려하면 전체 해군력은 미국이 더 앞서고 있지만, 물량 공세가 거센 상황이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2024년 6월 공개한 ‘초국가적 위협 프로젝트’ 보고서에서 중국이 운용하는 전함은 234척으로, 미 해군의 219척(군수·지원 함정은 제외한 숫자)보다 많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조선 능력은 미국의 233배 미 해군정보국(ONI)이 2023년 7월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조선 능력은 미국의 23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연간 선박 건조 능력은 10만GT(총톤수) 안팎인 데 비해 중국은 2325만GT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더 큰 문제는 절대적인 함정 수도 중국이 많지만, 중국은 함정을 동아시아에 집중 배치해 놓고 있는 반면 미국은 함정들을 전 세계에 분산 배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동아시아 해역만을 놓고 볼 때, 미국과 중국 간의 ‘함정 갭’은 몇 배나 더 커진다는 점이다. 최근 들어 중국 해군의 함정 보유가 급격히 늘자 미국은 다급해졌다. 미국으로서는 미국 내 조선업 재건을 추구하든지, 아니면 한국·일본같이 조선업이 강한 동맹국들로부터 함정을 급히 구매하거나 다른 형태의 도움을 받아야 할 기로에 서 있는 것이다. 미국기업연구소(AEI)의 선임연구원 잭 쿠퍼는 “제1, 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은 상대방보다 더 많이 생산할 수 있다는 강점 때문에 전쟁이 장기화할수록 더 강해졌다”며 “하지만 중국의 막대한 조선 능력을 고려할 때, 우리는 전쟁이 장기화할수록 중국이 강해지는 반대의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 3월 2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발간한 ‘미국 해양 조선업 시장 및 정책 동향을 통해 본 우리 기업 진출 기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한때 414개 조선소가 운영될 정도로 조선 산업이 활발했지만 2000년대 들어 급속도로 쇠퇴했다”며 “미국 조선소들은 안정된 일감을 바탕으로 기술 개발과 투자를 소홀히 하는 바람에 시설도 노후화하고 생산성도 떨어졌으나, 중국은 해양 산업을 육성해 2024년 국제 조선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고 했다. 한화오션, 미 군함 ‘월리 시라’호 수리 2024년 영국의 국제 군사정보 전문업체인 IHS 제인스에 따르면, 글로벌 함정 건조 시장 규모는 692억달러(약 93조원)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모도 인텔리전스(Mo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MRO(함정 유지·보수·정비) 시장 규모는 올해 578억달러(약 78조원) 수준이다. 미국 MRO 시장만 하더라도 139억달러(약 18조원, 2024년 예산안)에 이른다. 우리와 미국의 또 다른 협력 방안으론 기술 이전 등이 꼽힌다. 쇠퇴한 미국 선박 건조 능력을 위해 그동안 기술 역량을 축적해 온 한국이 미국 내 조선소에 한국의 조선 기술을 이전해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조선업 쇠퇴로 미국 해군은 MRO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한화오션이 국내 최초로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 MRO 사업을 수주했고, HD현대중공업도 MRO 사업 수주전에 뛰어든 상태다. 최근 조선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지난 1월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올해 미 해군 함정 5, 6척 MRO 사업 수주 계획을 발표했다. 한화오션은 이미 지난해 미 해군 함정 2척의 MRO 사업을 수주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도 올해 2, 3척의 미국 함정 MRO 사업을 수주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함정 MRO 분야에서 한국과 협업을 강조한 것은 좋은 신호이며, 방산 측면에서 양쪽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협력이 강화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미국 조선업계와 한국 조선업계의 협력이 중요한 이때, 한미 조선업계에서는 중요한 이벤트가 벌어졌다. 지난 3월 13일 미 군함 4만t급 ‘월리 시라’호가 유지·보수 및 정비를 마치고 경남 거제의 한화오션 조선소에서 출항했다는 소식이다. 한국 조선소가 미군 함정을 처음으로 고쳐 출항시킨 것이다. ‘월리 시라’호는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작전에 참여해 오다 유지·보수 및 정비를 받으러 작년 9월 거제항에 입항했다. 한화오션에 따르면, 이 배를 검사했을 때 외관만으로도 부식된 부분만 약 260군데에 달했다. 주요 장비를 점검·교체하거나 운항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것 등 수백 곳을 손봤다. 한화오션 측은 추가 수리가 필요한 방향타와 엔진, 프로펠러 부분들을 발견해 미 해군 측에 알리고 추가 보수를 제안했다. 미군으로선 원래 3개월이던 MRO 기간이 2배인 6개월로 늘어나는 상황이었지만, 이를 흔쾌히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해군이 MRO를 한국에 맡긴 것은 이 배가 처음이었다. 극비 군사작전에 여러 차례 투입됐던 함정을 맡길 정도로 미국이 한미 동맹과 우리 조선소의 기술력을 신뢰한다는 뜻이었기 때문에 신선한 충격을 줬다. 美 함정 건조능력 보유한 동맹국은 한국과 일본뿐 미국 함정 시장은 연간 358억달러(약 52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는 미 함정 MRO 시장(약 18조원)의 2배 이상 되는 규모다. 이미 미 해군력이 수적으로 중국에 열세에 놓이면서 한·미가 해양·조선 분야에서 협력할 명분은 마련된 셈이다. 특히 우리 조선업계에선 지난 2월 미 상원이 미 해군·해안경비대의 함정을 외국 조선소에서 건조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안을 발의한 것에 주목한다. 법안에서 특정 국가를 명시하진 않았지만,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 중 미국의 입맞에 맞게 함정을 건조할 수 있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 정도다. 지난해 2월, 카를로스 델 토로(Carlos Del Toro) 미 해군장관은 한국의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을 방문해 함정 건조 역량을 확인하며, 두 거대 조선업체가 미국 조선소에 투자해 달라고 요청했다. 국내 조선사들은 MRO 사업이 향후 미 해군 군함 건조 사업 수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관측하고 있다. 군함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건조 능력을 보유한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원팀’으로 만나 미국 함정 수출의 물꼬를 트길 기대한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5월호

봄 골프시즌 본격 개막…'골프보험' 실속 챙기는 新라운딩 필수템

소액 가입·간편 설계...초보부터 상급자까지 맞춤 보장 홀인원 축하금부터 동반자 보장까지...골프보험 진화 중 | 이윤애 기자 yunyun@newspim.com 따뜻한 봄 날씨와 함께 본격적인 골프 시즌이 시작되면서 ‘골프보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동반자에게 선물할 수 있는 골프보험 상품도 출시되면서 실속형 보장 상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골프보험 신규 계약 건수와 보험료는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9월 기준 골프보험 신규 계약은 3만137건, 원수보험료는 약 19억7800만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4.1%, 13.5% 증가했다. 소액으로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는 점, 골프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와 비용을 보장해 주는 점 등이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홀인원 특약’을 중심으로 맞춤형 구성, 선물하기 기능 등도 더해지며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소비자가 원하는 보장만 선택해 설계할 수 있는 구조의 골프보험을 선보이고 있다. 자신의 실력에 따라 원하는 보장만 골라 설계가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다. 홀인원을 기대할 수 없는 골프 초심자라면 ‘남에게 피해를 줬을 때’와 ‘내가 다쳤을 때’만 선택하고 홀인원 축하금 특약은 제외하면 된다. 반면 홀인원을 노리는 가입자라면, ‘홀원인에 성공했을 때’ 패키지를 선택하면 된다. 타인 피해 보장(최대 2000만원), 자신이 입은 상해 보장(최대 1억원), 골절·깁스 치료비, 홀인원 축하금(최대 200만원)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모든 특약을 포함하더라도 4인 기준 보험료는 5680원 수준으로, 가성비가 높다는 평가다. 삼성화재는 지난 2월 업계 최초로 동반자 무기명 보장이 가능한 ‘원팀골프보험’을 출시했다. 기존에는 동반자의 이름과 정보를 모두 입력해야 보장이 가능했지만, 해당 상품은 가입자 1인만 등록하면 동반자 전원에게 동일한 보장이 적용된다. 골프 라운딩 시 동반자가 매번 달라지더라도 별도 변경 없이 본인 정보로만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다. 홀팀 내 본인 및 동반자의 배상책임은 물론 홀인원을 했을 경우 최대 200만원까지 보장하고 가입자 본인의 상해 사고까지 폭넓게 보장한다. 또한 1개월부터 12개월까지 시즌형 가입도 선택할 수 있어 자주 라운딩을 즐기는 골퍼들의 가입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모바일을 통한 간편 선물 기능도 지원한다. 한화손해보험은 스크린골프장(골프존)에서의 홀인원까지 보장하는 ‘백돌이 홀인원보험’을 운영 중이다. 첫 홀인원 100만원, 두 번째 홀인원 50만원, 알바트로스 100만원까지 보장이 가능하며, 골프 중 발생할 수 있는 배상책임과 중상해 후유장해 보장도 포함된다. 스크린골프를 즐기는 고객이나 실력 있는 골퍼들에게 적합한 구성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홀인원을 기념하기 위한 용도로 보험을 활용했다면, 최근에는 배상책임과 물품 손해 보장 등 실속 있는 구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선물 기능까지 더해지면서 골프보험이 라운딩 전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5월호

트럼프 관세 쇼크에 ‘리세션 트레이드’ 재조명

물러서지 않는 트럼프에 침체 ‘가시권’ 채권·금·방어주·엔화 강세 기대감 확대 | 시드니=권지언 특파원 kwonjiun@newspim.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강도 상호관세가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제를 결국 침체로 몰고 갈 것이란 우려에 ‘리세션 트레이드(Recession Trade)’ 가 주목받고 있다. 관세 패닉 투매로 미국 증시가 5년래 최대 폭락을 기록하고 뒤이어 아시아와 유럽 등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이 초토화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미국의 무역 적자를 해소하고 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한 ‘필요한 약’이라며 꿈쩍도 하지 않았다. 월가는 경기 침체 가능성을 급히 상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향후 12개월 내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질 확률을 기존 35%에서 45%로 상향 조정했고, JP모간도 미국과 글로벌 경기 침체 확률을 60%로 전망하며 투자자들에게 방어적인 포트폴리오 전략을 권고했다. 투자자들도 경기 침체 시기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자산으로 알려진 국채, 방어주, 금과 같은 자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리세션 트레이드’란 리세션 트레이드는 경기 침체 또는 둔화 국면에서 방어적인 수익을 추구하거나, 금리 하락 등 정책 반응을 선반영해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핵심은 침체가 예상되는 시점에 민감도가 낮은 자산에 대한 비중 확대이며 채권, 방어주, 배당주, 금이 대표적이다. 특히 장기물 국채에 대한 투자 비중 확대는 가장 보편적인 리세션 트레이드 전략으로, 경기 둔화→금리 인하→채권 가격 상승이라는 전형적인 수익 구조를 노린다. 경기 둔화가 예상될 때 투자자들은 주로 TLT(20년물 이상 장기 국채 ETF), IEF(7~10년물 중기 국채 ETF) 같은 국채 ETF에 주목한다. 실제로 4월 초 미국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면서 채권 가격은 반등 흐름을 보였다. 모간스탠리는 최근 보고서에서 “경기 둔화 조짐과 더불어 정치 불확실성까지 감안하면, 향후 6개월간 TLT와 같은 장기국채 ETF는 방어력과 수익성을 모두 갖춘 자산”이라며 비중 확대를 권고했다. XLV(헬스케어 섹터 ETF), XLP(필수소비재), XLU(유틸리티) 같은 방어주 관련 ETF도 매출의 경기 민감도가 낮아 불확실한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미국 대형 헬스케어 기업들은 고령화와 정책 수혜를 동반하며 구조적 성장까지 겸비하고 있다. 여기에 배당 수익률이 높거나 안정적으로 배당을 늘리는 기업들, 즉 VYM(고배당 ETF)이나 SCHD(배당 성장 ETF)도 시장 불확실성 국면에서 자주 언급되는 대안이다. 실제로 관세 발표를 전후로 ETF 자금 흐름은 성장주에서 방어주, 기술주에서 고배당주로의 자금 이동을 보여줬다. 글로벌 ETF 리서치 기관인 EPFR에 따르면, 3월 말 이후 헬스케어와 필수소비재 ETF로의 유입액이 12주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반면 고베타 성장주 중심의 ETF에서는 순유출이 나타났다. 실물 자산인 금도 빠지지 않는다. 금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이자 시장 불확실성 국면에서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다. 최근 금값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다시 주목을 받고 있는 것도 이 같은 배경이다. GLD(SPDR골드 ETF), IAU((iShares골드신탁 ETF) 같은 금 ETF, 또는 GDX(금광업체 ETF)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수요를 반영한다. 골드만삭스는 강력한 ETF 유입 및 지속적인 중앙은행 수요를 반영해 올해 말 금 가격 전망을 온스당 3300달러로 상향했고,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2년 안에 금 가격이 3500달러까지 갈 수 있다고 예상했다. 모간스탠리 역시 연말 금 전망치를 3400달러로 높게 제시했다. 극단적 리스크 회피 전략으로는 초단기 국채나 머니마켓펀드(MMF) 등 현금성 자산으로의 이동이 있다. 이는 투자 기회를 위한 대기 자금 역할도 겸하며, 실제로 BIL 같은 초단기 국채 ETF는 고금리 수익과 유동성을 동시에 제공해 기관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 금과 현금은 시장이 방향성을 잃었을 때, ‘정지’ 대신 ‘준비’라는 태도로 접근하게 해주는 전략적 자산이다. 통화 시장에서도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두드러진다. 특히 일본 엔화(JPY)와 스위스 프랑(CHF)은 전통적인 안전 통화로, 경기 침체 시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뚜렷하다. 일본은 막대한 대외 순자산을 보유한 채권국으로서 글로벌 불확실성이 고조되면 자국 투자자들이 해외 자산에서 자금을 회수하면서 엔화 매수세가 강화된다. 여기에 평소 고금리 통화에 투자했던 캐리 트레이드가 청산되면서 반사적으로 엔화가 상승하는 효과도 나타난다. 스위스 프랑 역시 정치적 안정성과 신뢰도 높은 금융 시스템 덕분에 유럽발 위기나 글로벌 리스크 오프(위험 회피) 국면에서 강세를 보인다. 반면 미국 달러는 리세션 초기에는 여전히 유동성 확보 수단으로 수요가 몰리지만,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현실화되면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 월가에서는 “엔화 매수·호주달러 매도 전략” 내지 “스위스프랑 매수·유로 매도 전략” 같은 전형적인 리스크 회피 전략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골드만삭스와 노무라 등 주요 투자은행들도 하반기 연준의 완화적 기조 전환이 가까워질수록 엔화와 프랑의 매력이 부각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환율 변동성이 커지는 국면에서 이러한 통화 전략은 리스크 헤지와 수익 창출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유효한 대응책으로 평가받는다. 다만 투자자들은 현재의 리세션 트레이드 환경이 과거와 다르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현재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에 직면해 있으며, 정책금리를 상당 기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실제로 연준 점도표와 연준 위원들의 발언을 종합하면, 물가 목표(2%)를 향한 신뢰가 확보되기 전까지는 경기 둔화를 감수하더라도 금리 인하에 소극적일 것임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도 쉽게 하락하지 않고, 리세션 트레이드의 핵심 축인 채권 매수 전략이 무력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방어주나 메가테크 같은 자산은 이미 전방위적 리스크 회피 수요에 의해 선반영된 상태여서, 진입 타이밍이 늦을 경우 기대수익률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더 나아가, 경기 둔화가 실제로 진행되더라도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될 경우에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리스크까지 확대될 수 있다. 이 경우 금리도 못 내리고, 주식도 못 오르는 전통 자산 배분의 딜레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리세션 트레이드를 고려한다면, 노동시장 급랭→소비 위축→인플레 둔화로 이어지는 복합적인 신호가 동반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연준의 태세 전환(비둘기적 전환)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사 썸네일 이미지

2025년 05월호

美 관세 폭탄 피하려면 안정적 배당주에 투자하세요

시장 흔들릴수록 배당이 인기...“성장 대신 안정” 월급처럼 받는 배당금...현명한 포트폴리오 설계법 배당 유형별 투자 가능...ROE·배당성향 꼼꼼히 따져야 | 송기욱 기자 oneway@newspim.com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시장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글로벌 증시가 요동치며 성장주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투자자들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 대신 안정적인 배당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배당주는 주가 하락에도 일정한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 ‘안전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배당주가 무엇이고, 어떻게 투자해야 현명한지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배당주는 기업이 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으로 나눠주는 주식입니다. 주식 투자는 주로 주가 상승을 기대하지만, 배당주는 주가가 오르지 않아도 배당금으로 꾸준한 수익을 줍니다. 시장이 불안할 때도 일정한 현금 흐름을 제공하니 안정적 투자 수단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배당주를 이해하려면 몇 가지 용어를 알아야 합니다. 우선, 배당금은 주주가 받는 현금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투자해 연 5만원을 받으면 이게 배당금입니다. 배당수익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 비율로, 은행 이자율처럼 생각하면 됩니다. 100만원짜리 주식이 5만원을 주면 배당수익률은 5%입니다. 배당성향은 기업 이익 중 배당으로 나눠주는 비율을 뜻합니다. 이익 100억원 중 30억원을 배당하면 배당성향은 30%입니다. 마지막으로 배당락은 배당 기준일 후 주가가 배당금만큼 이론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주가가 5만원이고 배당금이 5000원이면 다음 날 4만5000원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런 요소들을 바탕으로 투자자들은 배당주 전략을 세웁니다. 전문가들은 당장 배당을 많이 주는(연 5% 이상의 배당수익률) 고배당주와 매년 배당을 늘려가는 배당성장주를 구분해 접근할 것을 조언합니다. 고배당주는 단기 수익, 배당성장주는 장기 투자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고배당주로는 SK텔레콤, 미국의 버라이즌(Verizon) 같은 통신 업종이 꼽힙니다. 배당성장주는 삼성전자나 미국의 코카콜라를 들 수 있습니다. 현명한 투자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도 있습니다. 우선, 자기자본이익률(ROE)이나 부채 비율을 보면 기업이 건강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또 배당 지속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익이 줄면 배당도 줄어들기 때문에 순이익 추이를 봐야 합니다. 과도한 고배당도 조심해야 합니다. 수익률이 10% 넘으면 재무 악화 신호일 수 있습니다. 과거 두산중공업은 높은 배당을 주다 이익 감소로 축소한 바 있습니다. 배당성향이 80%를 넘으면 위험할 수 있으나, REIT처럼 배당성향이 높아도 안정적인 업종은 예외일 수 있습니다. 배당락도 고려 대상입니다. 배당 후 주가가 떨어질 수 있으니 장기 보유하거나 하락 시 매수 타이밍을 노려야 합니다. 세금도 계산해야 합니다. 한국은 배당소득세 15.4%가 붙어 5만원 배당금이면 약 4만2300원만 손에 쥡니다. 분산 투자도 필수입니다. 한 종목에 ‘올인’하면 기업이 흔들릴 때 타격이 큽니다. 통신, 금융, 해외 주식을 섞어 담으면 위험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분산 투자를 위해 개별 주식뿐 아니라 배당주 관련 ETF를 활용하는 투자자도 늘고 있습니다. 최근 배당주 관련 ETF가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ETF는 개별 주식 대신 고배당주를 묶어 투자함으로써 분산 효과를 냅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는 미국의 대표 배당주 ETF인 SCHD에 투자하면서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해 연 10%의 분배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다만 커버드콜 전략은 주가 상승 폭이 클 때 수익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커버드콜 ETF’ 시리즈 3종은 4월 들어 순자산 총합이 1조원을 돌파하는 등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화자산운용의 ‘PLUS고배당주’는 4월 들어 순자산총액 60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연초 이후에만 개인 순매수가 1300억원에 달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금정섭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두드러진 성장주가 줄어드는 국내 시장에서 주목할 것은 배당주”라며 “외국 납부세액 공제 방식 개편, 고령화 사회, 밸류업 등 조건들이 배당주의 수익률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의 밸류업 정책은 기업 배당 확대를 유도해 배당주 매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2025.03월 ANDA
2025.04월 ANDA
2025.05월 ANDA
2025.06월 ANDA
2025.07월 ANDA
상호 : (주)뉴스핌 | 사업자등록 : 104-81-81003 | 발행인 : 민병복 | 편집인 : 유근석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기락
주소 :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0, 미원빌딩 9층 (여의도동) 뉴스핌 | 편집국 : 02-761-4409 | Fax: 02-761-4406 | 잡지사업 등록번호 : 영등포, 라00478 | 등록일자 : 2016.04.19
COPYRIGHT © NEWSPIM CO., LTD. ALL RIGHTS RESERVED.
© NEWSPIM Corp.